강진군, 차문화 학술대회 및 전국 찻자리 경연대회 성료
![]() |
▲ 강진군이 개최한 제3회 전국 찻자리 경연대회 참가자와 심사위원 등 관계자들이 행사 이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강진군 제공 |
[강진=정찬남 기자] 한국 전통차의 원형으로 강진차의 우수성을 알리고 강진 전통차의 정체성 및 계승을 위해 마련된 제3회 강진다산명차 전국 찻자리 경연대회에서 ‘월백풍청’이라는 주제로 찻자리를 준비한 최선주씨가 금상을 수상했다.
은상은 이나경, 김수진, 동상은 이종분, 주정숙·이정희, 다산상은 소하영·조희자, 강순형, 박소미·추양미씨 팀이 수상했으며, 장려상과 특별상은 각각 5팀씩 선정돼 총 18팀에게 상장과 부상이 수여됐다.
전남 강진군은 지난달 28일과 29일 양일간 제 6회 차문화 학술대회와 제3회 강진다산명차 전국찻자리 경연대회를 개최한 가운데 이와 같이 수상 결과를 발표했다.
강진 차를 빛낸 모든 차인과 다산선생, 혜장선사, 초의선생, 이한영 선생을 위한 헌다례 행사로 문을 연 제6회 차문화 학술대회와 제3회 강진다산명차 전국 찻자리 경연대회는 강진군다인연합회, 강진문화원, 강진신문사 공동주관으로 개최됐다.
행사 첫날 오후에는 아트홀 소공연장에서 다인과 제다농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성민 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연구소 소장이 ‘한국 전통차의 원형으로서 강진 전통차의 정체성 및 계승 방안 탐구’라는 주제의 학술을 발표했다. 이어 박동춘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이사장이 ‘조선 후기 다산과 초의선사가 차 문화에 미친 영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이후 진행된 종합토론은 박희준 한국발효차연구소장을 좌장으로, 강순형 차 연구가, 김혜숙 동명대학교 초빙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행사 둘째 날에는 강진오감통 야외공연장에서 전국 차인 26팀이 참가한 제3회 강진다산명차 전국 찻자리 경연대회가 개최돼 각 팀의 찻자리 차림새와 차 맛, 태도 등 심사가 이뤄졌다.
심사위원장에는 추민아 아시아차문화연구회장이, 윤희숙 강진군 다인연합회장, 주효근 대구전통문화협회장, 서난경 한국차문화협회 전남지부장, 이은권 대전다산차인회장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강진원 강진군수는 “전국의 수많은 다인이 강진 차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이어왔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며 “다음에는 행사 규모를 확대해 역사 깊고 우수한 강진 차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