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대통령실은 “광복절 특사 대상자 중 야당 인사가 여당보다 훨씬 많다”며 조국 대표를 포함한 신당 관계자를 ‘야당 인사’로 분류한 반면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광복절 특사로 여권에서 조국ㆍ최강욱 등이 포함됐다”고 혁신당을 여권 범주에 포함시키며 입장을 달리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최고위원인 김병주 의원은 12일 '혁신당을 범여권'으로 규정했다.
김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에서 "대통령실은 조국 전 대표를 '야당'이라고 하고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여권'이라고 했다‘는 진행자 질문에 "관점에 따라서 맞는 말일 수 있다"면서도 "12.3 내란 이후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진보진영이 똘똘 뭉쳐서 윤석열을 탄핵하고 이재명 정부를 탄생시켰다. 그런 측면에서는 범여권이 맞다, 저는 동지 개념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김 의원은 혁신당과의 합당 가능성에 대해서는 "시대 흐름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지만 지금은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반면 같은 당 박지원 의원은 "조국혁신당과 민주당이 합당해서 지방선거, 총선, 다음 정권 재창출까지 이뤄내야 우리나라가 잘 살 수 있다"며 "민주당에서도 찬반이 있지만 (합당이)가능하리라 본다"라며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이런 가운데 혁신당은 독자 노선을 고수했다.
김선민 당 대표 권한대행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너무 앞서가는 얘기”라고 합당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검찰ㆍ사법ㆍ감사원ㆍ언론 개혁과 반헌특위 설치 등 5대 개혁 완수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김준형 의원도 “창당 이후 합당을 검토한 적이 없다”며 “조 전 대표는 민주당보다 왼쪽에서 진보 정치 입지를 구축하려는 것으로 안다”고 힘을 실었다.
한편 이번 사면 대상 포함된 정치인과 주요 공직자 27명 중 19명이 범여권 인사라는 평가다.
특히 조 전 대표 자녀 입시 비리 의혹과 연관된 인물만 4명이다.
징역 2년을 선고받은 조 전 대표를 비롯해 징역 4년을 선고받은 조 전 대표의 아내 정경심씨, 조 전 대표 아들에게 허위 인턴 확인서를 써준 혐의로 징역 8개월이 확정된 최강욱 전 의원, 조 전 대표의 딸 조민씨에게 장학금을 건넨 혐의로 벌금 1000만원형이 확정된 노환중 전 부산의료원장 등이다.
이외에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해 모은 후원금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확정받은 윤미향 전 의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해직 교사 특혜 채용 혐의로 유죄 판결받은 조희연 전 서울시 교육감과 한만중 서울시교육청 비서실장, 술에 취해 택시 기사를 폭행한 혐의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확정받았던 이용구 전 법무부 차관 등도 여권 인사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