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선미 의원(출처 : 페이스북)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은 1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육부 성희롱ㆍ성폭행 신고센터 신고접수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 신고센터가 설치된 이후 3년간(2020년까지) 총 258건이 신고됐지만 최근 3년간(2021~2023년) 총 533건으로 106.6% 급증했다고 밝혔다.
진 의원은 "교육부는 성희롱ㆍ성폭행 신고센터에 신고가 접수되면 초ㆍ중ㆍ고 사건은 교육청으로, 대학 사건은 해당 대학으로 이첩하고 교육부 직권조사(사안조사)는 사건 처리 결과가 미흡하거나 비위 정도가 심한 경우, 혹은 조직적 은폐 및 축소가 의심되는 경우 시행한다"며 "그러나 최근 3년(2021~2023년)간 533건이 신고ㆍ접수됐지만 직권조사는 단 한차례도 실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진 의원은 "신고 접수된 피해 사안을 소관기관에 이첩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하거나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며 "사안을 좀 더 객관적이고 철저하게 조사하기 위해 전문상담 인력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전문상담 인력 1명이 신고센터에 접수된 여러 사안을 꼼꼼히 들여다보는 건 무리가 있다, 향후 신규채용 계획이 없다는 교육부의 답변은 아쉬운 대목"이라며 "신고센터의 전문적 상담 및 사안 검토ㆍ처리를 위해 전문상담인력 증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신고건수를 학교급별로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는 40건, 중학교는 65건, 고등학교는 103건, 대학(4년제ㆍ전문대)는 136건이었다.
신고접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해자의 41.5%(221건)가 교원이었으며 그외(행정직원 및 계약직 교원 등)도 41.5%(221건)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피해자의 경우 그외 46%(245건), 학생 37.7%(201건), 교원 16.3%(87건) 순으로 확인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