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전략공천 최소화... 완전 국민경선도 검토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컷오프(공천 배제) 최소화’ 원칙 아래 이달 말까지 공천 룰 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경선 컷오프는 되도록 안 하려고 하는 게 당의 방침이자 정청래 대표의 생각”이라며 “공직 후보자 심사를 거친 이들에 대해 어떤 형식으로든 경선을 거칠 수 있도록 하자는 게 기본 원칙”이라고 전했다.
앞서 정 대표는 전당대회 당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는 ‘노컷 당 대표’가 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범죄 경력자 등 부적격자는 사전 검증을 통해 걸러내되, 나머지 모든 후보에게는 경선 참여 기회를 부여해 본선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민주당은 경선 부적격자를 가리기 위한 기준과 일부 부적격자에 대한 정밀 심사 방안에 대해 내부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 ▲적격 ▲예외 없는 부적격 ▲예외가 있는 부적격 등 기준을 두고 예외 없는 부적격에 해당할 경우 공천을 원천을 배제한다는 방침이다.
예를 들어 살인ㆍ강도 등 강력 범죄, 성매매 범죄. 가정폭력ㆍ아동학대 전력이 있거나 2018년 12월18일 ‘윤창호법’ 시행 이후 음주운전이 적발된 경우 투기 목적의 다주택자 등은 예외 없는 부적격 처리한다.
세번 이상 탈당 전력자도 ‘예외 없는 부적격자’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부 참작이 가능한 부적격자의 경우 공직 후보자 심사에는 참여할 수 있도록 하되, 일정 부분 페널티를 주는 방식을 적용할 예정이다.
특히 후보 경선에 권리당원 반영 비율을 더 늘릴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민주당은 당 지도부는 물론 원내대표 선출 과정에 권리당원 표심을 반영하는 등 각종 당 선거에서 권리당원 투표 비율을 높여왔다.
국민의힘도 2026년 6.3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나경원 의원을 위원장으로 출범한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은 우선 연말까지 후보 공천 시스템 윤곽을 만드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기획단 관계자는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열린 공천 시스템을 만들겠다”며 “늦어도 12월 말까지 대강의 공천 룰(규정)과 시스템을 제시해 공정한 공천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획단은 후보 경쟁력에 방점을 두고 경선을 원칙으로 전략공천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격전지에 대해서는 후보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도입도 논의할 예정이다. 서울, 부산 등 국민의힘 소속인 현역 광역단체장은 후보 경선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이 기조다.
특히 경쟁력 있는 정치 신인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차원에서 공천 과정에서 정치 신인ㆍ청년ㆍ여성에 대한 가점과 현역 의원 감점 비율을 놓고 세밀한 논의가 진행될 전망이다.
장동혁 대표 취임 이후 전면에서 대여 투쟁에 나섰던 당협위원장과 당원들에 대한 공천 우대가 필요하다는 당내 일각의 시각도 있다.
당 지도부는 추후 논의를 통해 이를 확정할 방침이다.
다만 장 대표는 지난 10일 열린 전국 17개 시ㆍ도당 위원장 간담회에서 일부 위원장이 제기한 공천룰 조기 확정 필요성에 공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룰이 확정돼야 예비후보들이 선거를 조속히 준비할 수 있고, 당 차원의 인재 영입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정부여당이 국정과 국회를 일방적으로 운영, 민생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을 부각해 ‘정권심판론’으로 지방선거를 치르겠다는 심산이다. 정부 실정이 부각될수록 정책과 민생에 민감한 중도층 표심을 잡을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특히 이번 지선의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서울, 충청, 부산 광역단체장 수성을 위해 사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