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지난 22일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ㆍ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 참여 결정으로 급물상을 타던 '여야의정 협의체'의 출범 전망이 27일 의대생 휴학 승인을 두고 의정이 엇갈린 입장을 내놓으면서 주춤하는 모양새다.
실제 대한의사협회가 '협의체 참여'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가운데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도 입장을 유보한 상태다.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역시 '정부의 입장 변화 없이 참여하지 않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병원장 단체도 불참으로 가닥을 잡았다.
특히 사태의 핵심 당사자인 전공의ㆍ의대생의 불참 의지가 강하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까지 총 3차례나 공개적으로 불참 의향을 전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지난 22일 의대생단체인 대한의과대학ㆍ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의 손정호ㆍ김서영ㆍ조주신 비상대책위원장과 함께 "허울뿐인 협의체에 참여할 의향이 없다"고 밝힌 데 이어 전날 페이스북에는 "2025년 증원부터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 참여를 선언한 의학회ㆍ의대협회도 조건 없는 의대생 휴학 승인 없이는 협의체 출범도 어렵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정부는 '동맹휴학'을 용인할 수 없다는 방침이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동맹휴학은 법령과 학칙에서 정하는 정당한 휴학 사유는 아니다"라며 "최우선 과제는 전공의와 학생의 복귀"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주로 예정된 협의체 출범이 순항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관측이다.
이진우 의학회장은 "휴학계 허가라는 전제가 선결돼야 된다"며 "출범에 대한 여당의 연락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거액의 합의금 요구' 의혹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임현택 의사협회 회장이 탄핵 위기에 처한 상황도 또 다른 변수가 될 전망이다. 임 회장에 대한 탄핵 소추 이유로는 ▲간호법 제정 ▲의정갈등에 대한 의협 대응 ▲막말 논란 ▲전공의 단체의 불신 등으로 알려졌다.
총 103명의 의협 대의원은 지난 24일 임 회장의 불신임 및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안건으로 의협 대의원회 운영위원회에 임시대의원총회 소집을 요청했다. 임회장은 해당 안건이 총회에서 재적 3분의2(164명) 이상 출석, 출석 3분의2 이상이 찬성 가결되면 탄핵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