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李, 안물러나면 의원들 거취 결정할 것"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0월 비대위설' 전망에 대해 "전망이 아니라 기대"라며 사퇴설을 일축한 데 대해 비명계 중진인 이상민 의원이 공개석상에서 "이 대표가 물러나야 분당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 내홍이 본격화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27일 "이 대표 체제에서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과 김남국 의원(현 무소속)의 가상자산(코인) 투자 논란이 불거지면서 당의 도덕성이 치명타를 입었다"라며 "이 대표는 지난 6월 혁신기구를 출범시켜 반전을 노렸지만,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노인 폄하' 발언 등 잇단 구설로 혁신 동력은 조기 상실됐고, 혁신위가 서둘러 내놓은 대의원제 무력화와 현역 공천 페널티 강화를 골자로 한 혁신안은 또 다른 갈등의 뇌관을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오는 28, 29일 예정된 의원 워크숍에서는 혁신안 수용 여부를 두고 친명·비명계 간 격돌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특히 이 대표가 혁신안을 수용하면 비명계의 강한 저항으로 내홍에 빠질 수밖에 없고, 혁신위 제안을 수용하지 않는다면 리더십에 상처가 난다는 점에서 진퇴양난에 놓이게 됐다는 지적이다.
9월 정기국회 중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이 구체화 되면서 이 역시 이대표에게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로인한 2차 체포동의안 표결로 또다시 '방탄 시험대'에 오를 민주당의 표결 전략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지난 6월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불체포특권 포기'를 선언했으나 최근 친명계는 표결 거부 후 퇴장하거나 표결 시 부결표를 던질 것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 2월 1차 체포동의안 표결에서 민주당에서 30표 이상 이탈표가 나온 터라, 방탄 부담이 더욱 커진 2차 표결에서 부결을 자신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러나 비명계는 "이 대표가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을 지키고 당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도 스스로 가결해 달라고 요청해야 한다"고 압박에 나선 상태다.
당 관계자는 "영장이 기각된다면 '검찰의 정치수사'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으면서 윤석열 정부에 맞설 정치인으로서 입지를 재확인할 수 있지만, 영장이 발부된다면 정치 생명이 위태로워진다"고 우려했다.
특히 당내에선 비상대책위원회 전환 등 '포스트 이재명' 체제를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이 대표는 '10월 사퇴 후 비대위 구성' 관측에 "78%라고 하는 압도적 지지로 당대표가 됐고 지금도 지지는 유지되는 정도를 넘어 더 강화되고 있다"며 "(비대위 구성은)전망이 아니라 기대"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내년 총선을 어떻게 해서든 반드시 이긴다는 게 주어진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가 자진해서 물러나지 않는 한 비대위를 구성할 수 없다.
비대위 구성은 지도부 과반 사퇴나 대표의 잔여임기가 8개월 미만일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친명계 지도부도 자진사퇴를 고려하지 않는 분위기다.
심지어 일부는 이 대표의 '옥중공천'까지 들고나온 상황이다.
급기야 당내 비명계는 공개적으로 분당론을 거론하기 시작했다.
이상민 의원은 지난 25일 CBS 라디오에서 "이재명 대표가 물러나지 않으면 거취를 결정할 의원들이 있을 것"이라며 "이재명 대표가 물러나야 비대위를 하든 뭐를 하든 하는데 안 물러나겠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딸(이 대표 강성 지지층)들은 이 대표가 거느리고 있는 지지 기반인데, 그런 일그러진 팬덤이 민주당에 그대로 있는 한 같이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을 지닌 의원들이 적지 않다"며 "이 대표가 물러나야 분당도 막을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앞서 이 의원은 지난 7월에도 "도저히 뜻이 안 맞고 방향을 같이 할 수 없다면 유쾌한 결별도 각오하고 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분당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 지도부는 '엄중경고'로 대응하는 모습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