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비대위원장은 이날 <주간조선>과 인터뷰에서 '전당대회가 7~8월에는 확실히 열리나. 경선 규칙부터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등 과제들이 많아 또다시 지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는 지적에 "가급적 7월로 매듭짓자, 휴가철 전에 끝냈으면 좋겠다는 말이 나온다. 하지만 준비 기간을 약 한 달로 잡으면 당헌ㆍ당규상 필요한 최소 기간 때문에 8월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라며 "6월20일까지 모든 준비를 마쳐야 7월 전당대회가 가능한데 준비 과정이 의외로 길고 복잡하다. '7월 전당대회 불가' 쪽으로 입장이 굳어지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는 8월20~25일께 열린다고 한다. 너무 간격이 벌어지는 것보다 민주당과의 흐름도 엇비슷하게 맞춰 선의의 경쟁을 하는 부분도 감안해야 한다. 그럼에도 8월 초ㆍ중순 전에는 전당대회를 끝내는 것이 맞다고 본다. 우리 비대위의 공통된 의견 역시 '전당대회를 가급적 빨리 끝내자'이다. 비대위원들도 현역들이기에 국회 업무에 전념하기 위해서라도 빨리 풀어드려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전당대회가 8월 초ㆍ중순 이전이 되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덧붙였다.
전당대회 룰과 관련, "사실 직전룰도 7대3(당원투표 70%ㆍ일반 여론조사 30%)이었는데 100% 당원투표로 바꿔 김기현 대표가 당선되자 논란이 됐다. 당원끼리만 당 대표를 뽑는다는 것은 영국식 거대 정당 구조에서나 가능하다. 우리는 현재 지구당도 없고 중앙당만 남아 있는 형태다. 민주당도 비슷하다. 영국처럼 당원수가 많지 않다. 그렇게 따졌을 때 당원들만 투표해선 국민이 '반장 선거 한다'는 비판을 할 수 있다. 국민의 호응과 관심, 지지를 유지하는 정당이 되기 위해 의견 폭을 넓히자는 차원에서 여론을 50% 이상 반영하자는 반론이 나오는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우리 당에 관심을 갖고 투표를 하는 분들이 몇백만명이 넘을 것이다. 위력감이 엄청날 것이다. 이렇게 일반 당원들을 포섭해나가자는 건데, 여러 의견을 수렴해서 결론이 형성되면 비대위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고 말했다.
여론 50% 반영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논란이 되는 총선백서 발표 시기와 관련해선 "총선백서는 별 문제가 없으면 빨리 내는 것이 좋다. 총선 끝나고 몇 년 뒤에 내는 것은 곤란하지 않나. 총선에 대한 시시비비나 평론은 빨리 내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라면서도 "현재 총선백서 진행과 전당대회가 공교롭게 맞물렸다. 흐름상 (당대회)뒤로 미루자는 얘기가 꽤 많다"고 전했다.
그는 지난 총선 참패와 관련해 특정인 책임론을 백서에 실을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는 것과 관련, "전당대회 후보들에 대한 평가가 총선백서에 담길 것을 우려하는 것 같은데 전당대회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이 있다면 아마 백서 TF(태스크포스)위원회가 고려해서 잘 판단하지 않을까 한다"라며 "백서는 과거에 대한 심판이라기보다 미래에 대한 하나의 징비록이다. 전략적으로 남길 이야기 등을 모으는 것이다. 개별 책임을 추궁하는 백서는 크게 도움이 안 된다"라고 잘라 말했다.
정치 신인들을 더 발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 것에 대해선 "젊은 국회가 현명한 국회가 될 수 있느냐는 점도 고민해야 한다"며 "선수(選數)가 높다고, 기성 정치인이라고 무조건 못한다고 보지 말고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이들이 계속 정치를 할 수 있는 이유는 지역구에서 주민들의 인정을 받았다는 점에도 있다. 연령이나 선수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특정 국회의원의 생각이 어떤지, 언행이 어떤지에 초점을 맞춰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