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3일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는 ‘쩐당대회’냐”라고 비아냥거렸다.
김 대표는 이날 아침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돈으로 매표한 행위는 반민주부패정당의 가장 대표적 특징인데 민주당이라는 당명이 부끄러울 정도”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의 불법 정치자금 의혹에서 출발한 수사가 2021년 5.2 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으로 번지는 것을 두고 한 발언이다.
실제로 검찰은 지난 12일 민주당 윤관석 의원과 이성만 의원에 대해 주거지와 지역구 사무실 등에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압수영장에는 정당법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가 적시됐으며, 특히 송영길 의원을 대표에 당선시키려고 금품이 조성 살포됐다는 내용도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대체 당시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검찰은 2021년 5월 민주당 임시 전당대회를 앞두고 송영길 후보의 당선을 위해 불법 모집된 정치자금이 이정근을 통해 윤관석 의원과 이성만 의원에게 전달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강래구 한국감사협회 회장이 9000만 원을 마련하고 이정근을 통해 윤관석 의원에게 6000만 원을 건넨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불법적으로 모집된 돈은 전당대회 국면에서 현역 의원 10명에게는 300만 원씩, 국회의원이 아닌 대의원에 60명에게는 50만 원씩을 돌렸다고 한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돈 봉투 의혹과 저는 아무 관련이 없다”라며 "황당하기 짝이 없다"라고 전면 부인하고 있다.
이성만 의원 역시 "진술만으로 야당 의원들을 줄줄이 엮어 정치탄압에 몰두하는 검찰의 야만적 정치 행태를 규탄한다"라고 했다.
민주당 인사들도 두 의원을 옹호하며 검찰 수사에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비난했다.
우상호 의원은 "(여권이) 미국 도·감청 사건을 덮으려는 의도로 (이번 사안을) 급하게 꺼내 든 것 같다"라며 "국면전환용 수사가 아닌지 의심된다"라고 했다.
장경태 최고위원도 "검찰이 캐비닛에 뒀던 수사내용일 것"이라고 가세했다.
하지만 검찰은 이정근의 휴대전화를 포렌식 하는 과정에서 강 회장이 "봉투 10개가 준비됐으니 윤 의원에게 전달해달라"고 말한 녹음 파일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녹음된 시점은 전당대회를 두 달 앞둔 2021년 3월이었으며 돈이 윤 의원에게 전달된 시점은 2021년 4월 27일이다.
그리고 그다음 날인 4월 28일에는 이정근이 송영길 보좌관에게 돈이 전달된 사실을 공유하는 메시지를 보냈다는 언론 보도가 터지기도 했다.
게다가 윤 의원은 전당대회 당시 송영길 당 대표 후보 캠프에서 선거 운동을 도왔다. 그리고 당시 전당대회에서 송 의원이 당 대표로 선출되자마자 곧바로 당내 조직과 살림을 책임지는 사무총장으로 임명됐다.
또 검찰은 이정근을 통해 이성만 의원에게 8000만 원이 흘러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특히 이 의원이 2021년 전당대회 당시 강 회장과 함께 송 후보 캠프 조직 등을 담당하며 선거를 도운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그 과정에 뭔가 거래가 있을 수도 있다는 의구심은 합리적이다.
그런데도 국회 최고 권력을 가진 민주당은 소속 의원들의 비리 혐의가 나올 때마다 “정치탄압”이라거나 “기획 수사”라는 등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고 핏대를 세우기 일쑤다. 그런 전략이 한두 번은 통할지 몰라도 나중에는 국민 의혹만 더욱 키울 뿐이라는 사실을 명심하라.
만일 이런 의혹들이 사실이라면 민주당 전(全)당대회는 ‘전(錢)당대회’라는 국민적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특히 같은 해 3.9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 후보를 뽑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도 이재명 대표의 최측근인 정진상과 김용에게 대장동의 검은돈이 흘러 들어간 정황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지 않은가.
만일 2021년에 있었던 민주당 두 번의 전당대회 모두 돈 봉투가 오고 갔다면, 그리고 그 결과 송영길과 이재명이 승리한 것이라면 민주당은 ‘민주(民主)’ 정당이 아니라 ‘전주(錢主)’ 정당이라는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그래서 묻는다.
이 같은 ‘돈 봉투 게이트’에 대한 이재명 대표의 입장은 무엇인가.
검찰 수사에 앞서 당 차원에서 먼저 진상 조사할 의향은 없는가.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