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0명 중 24명 권리 구제·37명 복지서비스 연계
![]() |
▲ 구 관계자가 국민기초수급 대상 부접합 결정자에 대한 가정을 방문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노원구청) |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서울 노원구(구청장 오승록)는 전국 최초로 시행한 '복지더채움' 제도가 서울시 적극행정 최우수 사례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복지더채움 제도는 국민기초수급 대상 탈락자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법접 기준은 충족하지 못하지만 당장 생계가 어려운 자 등을 발굴해 안타까운 사건·사고를 겪지 않도록 하자는 것으로 복지 사각 지대 해소를 위한 노력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지난해는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제도 폐지로 기초수급 신청자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에 비례해 탈락자 비율도 46%로 20년 36.9%에 비해 크게 늘었다.
현재 기초수급 신청 및 처리절차는 '동주민센터를 통한 초기상담 및 신청 접수→구청 해당과의 소득·재산 조사→신청자에 결과 통지' 등 정량적 평가로만 이뤄진다.
구는 이를 보완해 당사자가 처한 상황 등 정성적 평가를 추가했다.
먼저, 부적합 자에 대해 지침이나 특례 적용 등에 오류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집중 상담 및 가정방문을 통해 긴급복지지원, 이웃돕기, 돌봄SOS, 암환자의료비지원 등 상황에 필요한 맞춤형 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해 법적 제도 안으로 진입하지 못하더라도 실질적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더 나아가 스스로 문제 해결이 어려운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대상자는 통합 사례관리를 통해 복지, 보건, 고용, 주거, 교육 등 민관 협력체계도 구축했다.
올 1월 복지더채움 제도 시행 이후 8개월간 750명을 조사해 24명이 복지권리 구제를, 37명이 기타 복지서비스 연계를 받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중에 있다.
구는 기초생활보장 의료, 주거 수급 신청자로 재검토 범위를 확대해 복지사각지대를 더 촘촘히 점검할 계획이다.
오승록 구청장은 "복지더채움 외에도 촘촘한 그물망 돌봄 체계 구축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행정으로 어려움에 처한 이들을 돕고 복지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데 앞장서는 구가 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