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24일 "법원의 영장 발부와 적법 수사하는 검찰을 겁박하지 말고 전직 대통령으로서 최소한의 양심을 지켜달라"고 꼬집었다.
김 의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런 발언은 전직 대통령으로 매우 부적절한 처사"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김 의장은 문 전 대통령 사위였던 서 모씨의 타이이스타젯 특혜 채용 의혹을 거론하며 "도대체 대한민국의 어느 고위공직자 사위가 장인의 재임 중 항공사 임원으로 취업해 아무 업무도 하지 않고 수억원의 급여와 체류비를 받을 수 있나"라며 "해당 항공사 오너가 하필이면 사위 채용 6개월 전 고위공직자 장인에 의해 공공기관 이사장으로 임명됐다면 문 전 대통령은 어떻게 해명하겠나"라고 따졌다.
서범수 사무총장은 임종석 전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2국가론'을 거론하면 문재인 전 대통령을 겨냥했다.
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적대적 2국가론을 따르는 충격적 발언"이라며 "김 위원장이 2국가론을 주창하니 30년 이상 외쳐온 통일을 저버렸다. 소름이 끼친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사람이 대한민국 대통령의 비서실장까지 했단 말인가"라며 "문 전 대통령 비서실장에서 김 위원장 비서실장으로 커밍아웃 한 게 아닌지 의심된다"고 했다.
또 "문 전 대통령 시절에 대한민국 1급 군사 기밀을 무수히 접했고, 이 과정에서 주요 기밀이나 보안 사항을 고스란히 북한에 전달하지 않았을지 우려가 크다"며 "남북정상회담 때 김 위원장에게 보낸 USB 등 여러 얘기가 많았다. 정부에서도 철저히 살펴봐야 할 사안"이라고 했다.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탈원전 정책의 문제를 짚었다.
배 수석부대표는 "탈원전 정책으로 국내 3대 원전에서 자발적 퇴직자가 70% 이상 폭증했다"며 "국회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 월성 원전 1호기 폐쇄 등으로 지난 정부 5년 간 한국전력공사의 손실액이 25조8000억원에 달했다"라고 지적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의 '전 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전날 경남 양산의 문 전 대통령 사저에서 1시간 가량 면담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문 전 대통령은 검찰의 잇따른 압수수색에 대해 "마구잡이로 진행되는 측면이 있는 것 같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대책위는 검찰 수사를 무리하고 무도한 정치 탄압으로 규정하면서 당 차원에서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진 대책위원장은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이 전주지검장으로 있던 지난해 9월 이후부터 무작위로 이뤄지고 있는 문 전 대통령 가족에 대한 계좌추적이나 이상직 전 이사장과 아무 상관 없는 별건의 별건으로 가족 수사와 지인, 친척들 특히 최근 부동산 거래까지 전방위로 압수수색을 진행하면서 괴롭히는 정치검찰의 반헌법적이고 불법적인 형태에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책위에는 이 대표 및 측근들의 '대장동 사건'을 변호했던 김동아ㆍ박균택 의원과 박지혜ㆍ한민수 의원 등 친명계로 알려진 인사들을 비롯해 대표적 친문 인사인 윤건영 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출신인 황희 의원, 정무수석과 정무비서관을 각각 지낸 한병도ㆍ김한규 의원이 참여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