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남 아파트 두 채 중 한 채를 처분하겠다고 했던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어떻게 처분할 것이냐고 물었더니 딸에게 양도하겠다고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나서야 뒤늦게 "아파트를 부동산에 내놨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실거래가보다 4억 원 높게 내놓은 것으로 드러나며 진정성이 의심받고 있다.
이 원장은 2002년 서울 서초구 우면동 대림아파트 155.59㎡(약 47평) 아파트를 아내와 공동명의로 매입했다. 2019년에는 단지 내 동일 면적 아파트를 한 채 더 샀다.
같은 단지 내에 아파트 두 채를 산 것에 대해선 투기라는 지적이 나온다.
그런데 이찬진 원장은 아니라며 극구 부인한다. 30대 자녀 두 명과 같은 공간에서 거주하니 집이 좁아서 어쩔 수 없이 한 채를 더 산 것뿐이라는 취지로 해명했다.
그러면서 30년 넘게 쌓인 변호사 사무실 관련 서류와 자료 등으로 집이 비좁다고 거듭 강조했다.
세상에 47평 아파트가 좁아서 한 채를 더 샀다니, 이건 20평형대나 30평형대 아파트에 사는 서민들에게 염장을 지르는 것도 아니고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다.
어쨌든 그 가운데 한 채를 팔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가관이다.
지난달 이 아파트는 동일 면적이 18억 원과 18억2500만 원에 각각 거래됐다. 하지만 이 원장은 그보다 약 4억 원가량 높은 22억 원에 내놨다.
혹시 나는 팔려고 내놓았으나 사겠다는 사람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딸에게 증여할 수밖에 없었다는 명분을 만들기 위한 쇼가 아닌지 의심스럽다.
그렇다면 과거 노무현-문재인 정권 당시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듯이 어차피 이재명 정권에서도 아파트 가격이 치솟을 것이기 때문에 움켜쥐고 있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금융감독위원장 스스로 무능한 이재명 정권에선 부동산 가격을 잡을 수 없다는 걸 자인한 셈이다.
만일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성공해서 부동산 가격이 안정되거나 오히려 하락할 것이라는 확실한 믿음이 있었다면 실거래가 보다 낮은 가격에라도 내놓아 빨리 처분하려고 했을 것 아니겠는가.
그런 것이 아니라 아파트 가격이 한 달 만에 4억 원이나 ‘껑충’ 올라서 오른 가격에 맞춰서 내놓았다면 그것도 문제다. 이재명 정부의 첫 부동산 정책인 ‘10.15 부동산 대책’이 완전히 실패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부동산을 잡겠다면서 서민들의 주택마련을 위한 대출까지 규제했으나 오히려 강남 지역의 아파트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는 것 아닌가.
이처럼 좌파 정권 고위직들이 아파트에 집착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과거 문재인 정부 때도 김조원 당시 민정수석의 집이 두 채가 있어서 하나를 처분하라니까 민정수석을 버리고 아파트를 선택한 사례가 있다. 시중에선 그로 인해 김조원이 아내로부터 잘했다는 소리를 들었을 것이라는 우스개가 나오기도 했다.
어디 김조원 한사람뿐인가. 그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노영민은 재임 기간에 서울 강남 ‘똘똘한 한 채’ 논란을 빚기도 했다. 당시 그는 청와대 다주택 참모들을 향해 1주택만 남기고 모두 팔라고 한 뒤 자신은 반포에 있는 아파트는 놔두고 충북 청주의 아파트를 팔았다. 그로 인해 강남의 ‘똘똘한 한 채’를 지켰다는 비난이 이어지자 결국 반포 아파트를 처분해야만 했다.
그런데 이재명 정권에서 이찬진 원장이 그런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게 국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 보듯 뻔하다.
이재명 대통령 측근인 이찬진이 강남 아파트에 집착하는 걸 보니 아무리 이재명 정권이 아파트값을 잡겠다며 온갖 규제책으로 서민을 어렵게 만들지만 결국 부동산 가격은 오를 것이라는 신호로 해석될 것 아니겠는가.
나는 강남에 살지만 내가 살아보니까 모두 강남에 살 필요는 없더라는 말로 국민에게 염장을 지른 김용범 대통령 정책실장이나 이찬진 금융위원장이나 도긴개긴이다.
이런 사람들이 중용되는 이재명 정권에서 부동산 정책이 성공할 가능성은 0%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정녕 어찌해야 하오리까?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