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14명 후보군 중 진교훈-정춘생-문흥선 3명 압축
국힘, 공천여부 곧 결정...김태우 "당, 무공천 이유 없어"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오는 10월 치러지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여야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30일 14명의 후보군 중 3명을 압축해 추가심사를 이어간다는 방침을 밝혀 주목된다.
민주당 한병도 전략기획위원장은 이날 "압축된 후보는 문흥선, 정춘생, 진교훈 후보자"라며 "3명에 대해 선관위 예비후보자 등록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관위는 3명 후보자에 대해 계속 심사할 예정이고 이후 결과를 다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진교훈 후보자는 경찰청 차장을 지냈고, 정춘생 후보자는 청와대 여성가족비서관 출신이다. 문홍선 후보는 강서구 전 부구청장이다.
민주당은 앞서 지난 7월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검증위)를 꾸리고 13명의 예비 후보 지원자들의 신청을 받아 검증에 나선 바 있다. 당시 신청자에는 정춘생 전 청와대 여성가족비서관과 권오중 전 세종시 경제부시장, 문흥선 전 강서구 부구청장, 경만선·김용연·박상구·이창섭·장상기·한명희 전 서울시의원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검증위는 13명의 후보를 추리지 않고 이달 중순 경 출범한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공관위)로 공을 넘겼으며, 이후 진교훈 전 경찰청 차장 등이 출마 의사를 밝혔다. 권오중 전 청와대 행정관은 중도 사퇴했다.
당초 무공천 기류가 우세했던 국민의힘은 늦어도 다음 주에는 공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특별감찰반원으로 특감반의 감찰 무마 의혹을 폭로했다가 대법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이 확정돼 지난 5월 구청장직을 상실한 김태우 전 구청장이 광복절 특사로 사면복권되면서 상황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실제 문재인 정권 당시 '김명수 사법부'에 대한 반발 여론이 커지면서 '공익제보자' 신분인 김 전 구청장 판결이 정당하냐는 반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는 관측이다.
김 전 구청장 자신도 당이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 무공천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김 전 구청장은 "(재보궐 원인 제공시 후보를 내지 않는다는)당헌당규 취지는 해당행위를 했느냐, 안 했느냐(가 판단 기준)인데, 공익신고로 정권이 교체됐다. 해당 행위가 아니라 당에 공헌한 것"이라면서 "저 때문에 치르는 (보궐)선거는 맞지만, 무공천을 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전 구청장이 의혹을 제기했던 35개 사건 중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은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은 징역 2년 실형, 신미숙 균형인사비서관은 집행유예를 각각 확정을 받았고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민정수석 시절 감찰 무마 의혹 대상인 유재수 전 경제부시장도 뇌물수수 드의 혐의로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