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는 이날 오전 열린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대표연설을 통해 “회복과 성장을 위해 가장 시급한 일은 민생경제를 살릴 응급처방인 추경”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한국은행이 성장률을 두달만에 또 하향조정했다. 계엄 충격으로 실질 GDP 6조원 이상이 증발했고, 한달만에 외국인 투자자금 5조7000억원이 빠져나갔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상생소비쿠폰, 소상공인 손해보상, 지역화폐 지원이 필요하고 감염병 대응, 중증외상 전문의 양성 등 국민안전 예산도 필요하다”며 “공공주택과 지방SOC, 고교무상교육 국비지원도, AI, 반도체 등 미래산업을 위한 추가투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추경 편성에 꼭 필요하다면 특정 항목을 굳이 고집하지 않겠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AI(인공지능) 중심 첨단 기술산업을 육성하자. 박정희 시대 경부고속도로 건설은 산업화의 초석이었고 김대중 시대의 초고속 인터넷망은 ICT 산업 발전의 토대였다”며 “비록 우리가 뒤처졌지만 AI산업에는 후발주자도 기회가 있다는 희망을 딥시크가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AI혁명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가 필요하다. 우선 국가 AI데이터센터를 만들어야 한다”며 “10만장 이상의 AI반도체 GPU를 가진, AI데이터센터로 AI산업을 지원하자. 연구자, 개발자, 창업기업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AI인프라를 구축하면 AI를 활용한 다양한 산업이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수준 높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갖춘 AI 부트캠프(전문인력 집중양성기관)를 만들고, AI 기술 인력을 10만명까지 양성해 AI 산업을 전략자산으로 키워야 한다”며 “과학 기술이 국가의 미래다. 미래를 주도할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대폭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2기 출범과 함께 국제질서가 빠르게 재편 중이다. 미국은 중국에 10%,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예고하며 무역전쟁의 서막을 열었다”라며 “자국 우선주의가 지배하는 각자도생 시대 개막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는 더 어렵다”고 우려했다.
이어 “시계제로 상황이지만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정치가 앞장서서 통상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며 “국회 차원의 통상대책특별위원회 구성을 다시 제안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맨몸으로 장갑차를 가로막고 총과 폭탄을 든 계엄군과 맞서 싸우며 다음은 과연 더 나은 세상일 것이냐는 질문에 더 진지하게 응답하겠다”며 “국민의 주권의지가 일상적으로 국정에 반영되도록 직접 민주주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의 나라의 주인으로 책임지고 행동한 그 소중한 경험을 토대로 국민이 행복한 나라를 만드는 공복의 사명을 새기며 ‘민주적 공화국’의 문을 활짝 열겠다”며 “그 첫 조치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도입하겠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