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소통도 이상무"
![]() |
▲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시범운영 결과 토론회. (사진=서대문구청 제공) |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서울 서대문구(구청장 이성헌)는 올해 상반기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시범 해제 기간 동안 타 지역과 비교해 연세로 상권이 활성화되고 교통 소통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앞서 구는 지난 13일 오후 2∼4시 창천교회 백주년기념관 맑은내홀에서 지역주민과 상인, 관련 분야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시범운영 결과 토론회를 개최했다.
먼저, 이날 발표자로 나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윤상혁 교수가 서울시 신용보증재단이 2023년 9월4일자로 제공한 데이터를 토대로 연세로 상권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연세로 상권의 2022년 상반기 대비 2023년 상반기 ‘전체 매출액’ 증가율은 22.0%로 서울 지역 유사 대학 상권(서울대입구역 -4.1%, 교대역 14.8%, 건대입구역 11.5%)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연세로 상권의 '점포당 매출액'과 '유동 인구 증가율' 역시 각각 23.0%와 38.6%로 모두 가장 높았다.
▲서울시 전체 ▲서대문구 전체 ▲연세로 상권의 '점포당 매출액' 증가율을 비교해도 각각 8.2%, 20.3%, 23.0%로 같은 결과가 나왔다.
참고로 비교 대상 지역 3곳은 서울시와 서대문구가 협의해 '매출액과 유동 인구 규모에 있어 연세로와 규모가 유사한 대학 상권'으로 시범 해제 전에 미리 결정해 놓은 것이다.
이어 교통기술사인 (주)진성 김진환 대표가 올 상반기 연세로 교통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연세로의 경우 현재 서비스등급 D등급이 나오고 있고 버스 통행속도 또한 ▲평일 평균 시속 11.65km(해제 전 12.30km) ▲주말 평균 시속 11.18km(해제 전 11.35km)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시는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시범 해제 후 연세로의 교통 서비스 수준(A∼F)이 D(안정된 교통류, 높은 밀도) 이상이고, 버스 운행 속도가 시속 10km 이상이면 '교통 소통 문제 없음'으로 판단하기로 했었다.
나아가 연세로 이면도로에는 차량이 줄어들어 오히려 보행자들의 안전이 확보됐다.
실제로 평일 기준 연세로 인근 창서초등학교 쪽 이면도로의 교통량은 하루 2088대에서 1877대로(주말은 1872대에서 1718대), 명물길 교통량은 하루 849대에서 697대로(주말은 804대에서 711대) 감소했다.
이 같은 발표 후 신혜숙 전 한국교통기술사협회장을 좌장으로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자로는 김봉수 신촌상가번영회장, 정지웅 서울시의원,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이성헌 구청장 등이 참여했다.
이 구청장은 "과학적인 조사 분석 결과 '상권 활성화 효과 있음'과 '교통 소통 문제 없음'이 논란의 여지 없이 충족됐으므로 서울시는 시민과의 당초 약속대로 9월 중 대중교통전용지구를 해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코로나19가 끝나 매출이 증가한 건지, 대중교통전용지구가 해제돼 매출이 증가한 건지 알 수가 없다'는 서울시 주장에 대해 "유사 대학 상권과 비교해 연세로 상권의 증가율이 더 높다면 대중교통전용지구 시범 해제 효과 때문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김경민 교수는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접근성의 중요성을, 정지웅 시의원은 시가 발표한 정책과 주민 간 상호 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김봉수 번영회장은 "서울시가 상권 하락을 걱정하는 주민 의견에 귀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구는 "한층 넓어진 보행로 등 기존 연세로에 설치했던 보행자 위주의 각종 교통인프라가 훼손되지 않고 잘 유지되고 있고, 대중교통전용지구 시범 해제 기간 중에도 필요에 따라 차 없는 거리를 시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같은 정책을 시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