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역대 중앙정부에서 해온 일, 철 지난 이념논쟁일 뿐”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사업을 놓고 광주광역시와 국가보훈부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주무부처인 보훈부는 반드시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강경하게 내비치고 있는 반면 광주광역시측은 공원 조성을 강행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30일 오전 b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헌법 1조 1항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인물을 기념하는 사업에 돈을 쓴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정율성이라는 사람은 그동안 잘 몰랐지만 항일운동가라고 일부에서 얘기를 하는데 항일운동의 구체적 활동 기록이 없다. 그래서 독립유공자 서훈도 못 받은 분”이라며 “국민 혈세를 쓸 데가 얼마나 많은데 광주시에서 이런 사람을 굳이 기념하려고 수십억원 혈세를 쓰는 이유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 “대한민국 정체성을 훼손하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대통령도 우려를 표명한 바가 있고, 일각에서 이념 갈등의 해소, 관용이라는 얘기를 하면서 명백한 전범에 해당하는 사람들까지 불순한 의도로 받아들이려는 작태를 보이는데 우리 대한민국의 헌법 가치를 왜곡하는 일”이라며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분명한 입장을 거듭 밝혔다.
그는 ‘노태우 정부에서부터 시작한 사업’이라는 광주광역시측의 주장에 대해서는 “전형적 물타기 수법”이라며 “광주시의 현재 입장이 중요하고 국민들, 또 광주시민의 의사가 중요하다”며 “과거 정부가 했으니까, 시진핑 주석이 찬양한 인물이라는 건 변명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과거 노태우 정부, 박근혜 정부 얘기하는데 당시는 그냥 일회성으로 잘 모르는 상태에서 한 것이지만 지금 역사기념공원이라는 건 일회적 사업이 아니라 영구적 사업이고 단순히 음악으로서가 아니라 그 사람의 일생을 위인으로 기념하자는 것 아닌가”라며 “거기에 대규모 예산까지 투입이 되는데 과거 정부의 그런 일과 지금 광주시에서 하는 일과 질적으로 차원을 달리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향후 행안부 차원에서 위법하거나 현저히 부당한, 공익을 해치는 시ㆍ도지사의 업무에 대해서는 시정을 명령할 수 있고 그 기간내 이행하지 않으면 그 사업을 취소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며 “그리고 국민들 혈세가 투입되는 곳에는 대한민국 감사원이 감사를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법률적 조치들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철 지난 이념논쟁일 뿐”이라고 말했다.
강 시장은 “보수정부인 노태우 정부부터 김영삼ㆍ박근혜 정부, 그리고 문재인 정부까지 역대 중앙정부, 보수든 진보든 정율성 기념사업을 앞 다퉈 했고 그것을 받아 지방자치단체 광주와 화순, 또 광주에 있는 구 단위에서 서로 앞 다퉈 했던 사업이 오늘의 사업”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48억원짜리 정율성 생가복원인데 이것마저도 지난 6년 전 결정해서 해 온 사업”이라며 “이런 사업을 지금 왜 이 시기에 이렇게 논란을 일으키는지 정말 몹시 서운하고 알 수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역사공원 사업에 불법이 있으면 감사를 하고 수사하면 될 일이고, 광주시도 당당히 그 점에 대해서는 협조할 건 협조하고 응할 것”이라며 “중앙정부 차원에서 볼 때 이 사업이 문제가 있다면 공문 방식이나 협조 방식으로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수단이 있는데 이렇게 요란하게 논쟁을 벌이고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보훈단체를 사주해 광주에 관변데모를 하게 만드는 게 어떻게 있을 수 있는 일인가”라고 질타했다.
이어 “2013년 박승춘 보훈처장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지 말라고 하면서 벌였던 그 행태를 똑같이 반복하고 있다”면서 ‘보훈단체 집회를 정부에서 사주한 관변집회로 보는가’라는 사회자의 질문에 “눈 가리고 아웅”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광주에 기반한 대부분의 언론사, 방송, 신문, 인터넷, 그리고 광주에 거주하고 있는 건강한 시민들 모두 이 정율성 사건이 이렇게 가는 것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고 이해할 수 없다고 하는 게 시민의 정서로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