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봉투’ 놓고 윤관석·강래구·이정근 법정서 “네 탓” 공방

    정당/국회 / 여영준 기자 / 2023-10-31 14:34:57
    • 카카오톡 보내기

    尹 “보관만” vs 李 “비겁하다”...姜-李, 서로 "총괄 책임자"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2021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사건에 연루돼 법정에 선 윤관석 의원과 이정근 전 사무부총장, 강래구 전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이 책임 소재를 놓고 ‘네 탓’이라며 설전을 벌였다.


    돈봉투를 "보관만 했다"는 윤 의원 주장에 이씨가 “비겁하다”고 반발하는 가 하면, 이씨와 강씨는 서로를 조직 관리 ‘총괄’로 지목하며 책임을 미루는 모습을 보였다.


    윤 의원 변호인은 30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2부(김정곤 김미경 허경무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재판에서 “돈봉투를 보관만 했다”며 윤 의원의 역할이 '스폰서→송영길 전 대표 보좌관 박영수씨→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윤 의원→민주당 의원들'이라는 돈 봉투 흐름 중에서 '보관'에 한정된다고 강변했다.


    이에 재판부가 "어차피 국회의원들에게 갈 돈이었는데 보관 주체만 박씨, 증인(이씨), 윤 의원 등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라고 정리하자 이씨는 “강래구(전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에게 듣기에 윤 의원이 다른 의원들에게 돈을 주자고 하니 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좀 비겁한 것 같다”고 반박했다.


    특히 윤 의원은 돈봉투가 ‘감사 표시’ 성격이라며 ‘매표 행위'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돈봉투가 의원들에게 배포된 시점인 2021년 4월 28∼29일에 대해 “(경선) 막바지 시점”이라며 “이미 지지를 표명한 사람들이 많아서 ‘오더’(지역 대의원들에게 송영길 전 대표를 찍어달라고 하는 요청)가 필요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검찰은 돈봉투 살포 이후인 2021년 4월 29일 윤 의원이 민주당 의원들에게 보낸 카카오톡 메시지를 공개하면서 이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윤 의원이 주장한 대로 단지 ‘감사 표시’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을 입증하고 나선 것이다.


    실제 검찰이 공개한 당시 카톡에서 윤 의원은 ‘리드하고 있으나 (경쟁 후보가) 턱밑까지 쫓아왔다는 보고가 있으니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달라. 조직 독려를 한 번 더 해달라’고 요구했다.


    또 이날 법정에서는 강씨와 이씨가 서로를 송영길 캠프의 조직 관리 ‘총괄’로 지목하면서 신경전을 벌였다.


    강씨가 “나는 캠프에 거의 가지도 않았다”며 자신을 캠프의 ‘배후 조직 총괄’로 지목한 이씨의 주장을 반박하자 이씨는 “선거 후 내가 사무부총장 직책을 맡으니 ‘감사를 그만두고 사무를 맡아야겠다’며 (당직을 넘긴다고) 윤 의원에게 말을 해달라고 하지 않았느냐”고 따졌다.


    경선 과정에서 지역본부장·상황실장들에게 금품을 제공한 것에 대해서도 이씨는 “강래구가 이런 시스템을 만든 것”이라며 “누구에게 돈을 받아 누구에게 주자는 것은 강래구의 제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바타든 바지사장이든 강권에 의해서든 제가 맡은 경선 직책은 조직본부장이니 이에 맞는 책임을 달게 받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