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헌법 수호의 막중한 책임이 있는 권한대행 최상목이 앞장서서 헌정질서를 유린하는 모순적 상황이 연일 발생하고 있다. 참을 만큼 참았고 기다릴 만큼 기다렸다"며 이같이 으름장을 놓았다.
하지만 탄핵 남발이라는 비판을 우려해 직접 ‘탄핵’이라는 단어를 언급하지는 않았다.
박 원내대표는 "오늘로 헌법재판관 3인 임명동의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지 82일째, 마 후보자 임명 결정을 헌법재판소가 내린 지 19일째"라며 "자신은 헌재 결정을 따르지 않으면서 헌법을 수호하겠다는 막중한 책무로 명태균 특검법을 거부한다는 해괴한 말을 늘어놓는 것이 정상인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대통령)의 헌정 파괴로 위기가 계속되고 있는데 위기를 수습하기는커녕 오히려 내란수괴 체포 방해와 특검 거부로 내란 수사를 방해하고 헌재 결정과 현행법을 무시하며 혼란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가 이처럼 직접적인 ‘탄핵’이라는 표현을 쓰지는 않았으나 박성준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미루고 있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겨눠 “탄핵 카드는 여전히 살아있는 카드”라고 말했다.
박 원내수석은 전날 YTN 라디오에서 “최고의 헌법적 가치를 수호하는 기관인 헌법재판소가 마 재판관을 임명하라고 했는데 최 권한대행이 지금까지 임명하지 않고 있는 모습 자체부터 얼마나 헌법 질서를 부정하고 있는 것인가”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헌재가 최재해 감사원장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현직 검사 3인에 대한 탄핵 사건을 재판관 8인 만장일치로 기각한 점을 염두에 둔 듯 “최 권한대행 탄핵에 대해서 지금 여러 목소리가 당내에서 나오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면서도 “탄핵 사유는 차고도 넘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수석은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를 철회하라는 국민의힘측 요구에 대해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박 원내수석은 “헌재의 9인 체제를 구성하는 것이 국회의 권리이고 의무”라며 “국회가 임명한 3인에 대해 (한 총리가)임명하지 않은 것은 헌정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당연히 국회가 행정 권력에 대한 견제ㆍ감시 기능으로서 탄핵소추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