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민형배 등 ‘비례연합정당’ 역할 분담 주장과 관련있나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선거제 개편안 논의 과정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와 ‘위성정당 방지법' 도입’에 힘을 실었던 더불어민주당이 이에 대한 권고적 당론 추진을 요구하는 당내 목소리에도 결정을 미루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는 모양새다.
이원욱·김종민·조응천·윤영찬 의원 등이 참여한 더불어민주당 혁신 모임 '원칙과 상식'이 23일 "(그동안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도 여러차례 공언했다"며 '위성정당 방지법'에 대한 권고적 당론 추진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위성정당 방지법을 추진하라는 당 안팎의 목소리가 높지만, 지도부는 가타부타 답이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들은 "기본 발의안 중 민형배안과 박성준안 등 거대정당의 비례대표 후보 추천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당론으로 의결해 빨리 본회의에 올려야 한다"며 "국민의힘 핑계 대며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은 기득권 정당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결단을 촉구했다.
이에 앞서 지난 15일 이탄희 의원을 비롯한 의원 30명이 위성정당 방지법 당론 추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데 이어 전날에는 의원 53명이 성명을 내고 위성정당 방지법의 당론 추진을 재차 촉구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일 야권 인사 주축으로 국회에서 열린 ‘정치개혁과 선거법 개악저지를 위한 토론회’에서 민주당 일부 의원들이 '지역구 정당, 비례연합정당 등의 역할 분담' 등을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실제 이날 우원식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병립형으로의 퇴행과 위성정당이 반복되어서는 안된다"며 "큰 연합을 통한 선거승리를 모색하자"고 말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민형배 의원은 :앞으로 국회의원이 선거제도를 결정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며 지역구와 비례의석을 1:1로 하는 완전연동형을 주장한 데 이어 국민의힘 의석 최소화를 위한 연합정치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당과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실무회의의 필요성을 강변했다.
이학영 의원은 진보정당과 시민사회의 연석회의를 통해 민주당 밖에 연대할 대상이 있음을 알려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