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하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보단장은 “국민을 두려워하지 않는 민주당의 오만함은 종북세력과 손을 맞잡더니 당선권에 가까이 안착시키는 뻔뻔함으로 이재명 대표의 방탄과 안위를 위해서라면 어떠한 세력과도 연대하겠다는 점을 공고히 한 셈”이라고 비판했다.
실제 민주연합이 전날 발표한 비례대표 30명 순번에 따르면 1순위엔 연합정치시민회의 몫으로 시각장애인인 서미화 전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이, 2순위엔 민주당 추천으로 '북미통'으로 꼽히는 위성락 전 주러시아 대사가, 3, 4 순위엔 민주당 추천의 백승아 민주연합 공동대표와 임광현 전 노무현 정부 경제비서관실 행정관이 각각 배치됐다.
문제는 ‘통진당 후신’ 의혹을 받고 있는 진보당 추천 후보 3인이다.
실제 당초 추천됐던 장진숙 진보당 공동대표가 국보법 위반 전력이 불거지면서 대체된 정혜경 전 진보당 경남도당 부위원장 (5번), 통진당, 경기동부연합 출신으로 이석기 전 의원 사면운동을 이끌었던 전종덕 전 전남도의원(11번), 통진당 후신 격인 민중당 공동대표를 지냈던 손솔 진보당 수석대변인(15번) 등의 전력이 도마 위에 오른 상태다.
여기에 더불어시민당 비례로 21대 국회에 입성했던 용혜인 새진보연합 의원(6번)에 대한 초유의 '위성정당 비례 재선' 논란도 문제로 떠올랐다.
오세희 전 소상공인연합회장(7번), 박홍배 한국노총 전국금융산업노조위원장(8번), 강유정 강남대 교수(9번) 등 민주당 추천 후보가 자리했다. 10순위엔 새진보연합이 추천한 한창민 사회민주당 공동대표가 올랐다.
병역거부 논란으로 배제된 임태훈 전 군인권센터 소장을 대신한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20번)도 민주노총 위원장 재직 당시 북한의 3대 세습과 핵 개발 정당화 논란을 야기한 ‘통일 교과서’ 발간 문제로 발목을 잡힌 상태다.
특히 더불어민주연합이 이날 비례순번을 발표하면서 김 전 위원장을 ‘현 한국철도공사 기관사’로만 소개해 의도적으로 민주노총 위원장 이력을 숨기려 했다는 의혹을 자초하면서 민주당 내에선 “그동안 청년과 교육, 노동 분야를 위해 힘썼던 민주당 소속 인사가 많은데 왜 이렇게까지 진보당의 원내 입성을 보장해 주려는 건지 모르겠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진보당은 일부 지역구에 대해서도 기대하는 모습이다.
실제 민주당과 진보당은 진보당 후보가 출마한 87개 지역구 가운데 대구·경북과 호남권을 제외한 전국 50여 지역구에서 경선 등을 통해 단일후보를 선출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