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집권 여당임에도 회담 성사에서부터 실무협상에 이르기까지 논의 과정에서 철저하게 배제됐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윤 대통령-이 대표 회담과 관련해 페이스북에 “구시대의 당쟁처럼 우물 안 개구리같이 당리당략에 매몰될 때가 아니다. 통한의 구한말을 재현할 수는 없다”며 “이번 정부에서 처음으로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가 회담하는 만큼 여야가 추구하는 신념윤리는 내려놓고 오로지 대한민국을 위한 책임윤리만으로 민심을 받들어 협치하길 제언한다”고 썼다.
그러면서 “여ㆍ야ㆍ정 협의체 정례화 합의를 바란다”며 “여당과 야당은 당파만의 대표가 아닌 대한민국 국민의 대표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윤상현 의원도 SBS 라디오에서 “이번 회담에선 여당이 빠져 있는데 적어도 민생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며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겠지만, 여ㆍ야ㆍ정 협의체 정례화로까지 진전이 되면 좋겠다”고 밝혔다. 윤 의원도 여야 협치 필요성을 언급하며 여당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국민의힘이 이번 윤 대통령-이 대표 회담 관련 의제 설정 등 회담 실무에 전혀 개입하지 못한 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회담 성사의 경우 윤 대통령이 직접 이 대표에게 연락하며 이뤄졌고 실무협상 또한 대통령실과 민주당 인사 중심으로 진행됐다. ‘여당 패싱’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배준영 사무총장 직무대행은 이날 YTN 라디오에서 “대통령과 민주당의 회담이기 때문에 대통령실이 앞장서고 저희(국민의힘)는 보이지 않는 게 맞다”고 했지만 야당과의 논의 테이블에 국민의힘 인사도 함께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초선 의원은 “향후 이 같은 회담이 또다시 성사된다면 집권 여당으로서 적극 목소리를 내 3자회담 또는 다자회담 방식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