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박준우 기자] 최관호 서울경찰청장은 13일 서울 도심에서 진행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집회에 대해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전했다.
최 청장은 11일 기자간담회에서 "13일 예정된 민주노총 집회와 농민대회는 방역적 집회 관리 차원에서 일관된 기조로 대응하겠다"며 "현재까지 (집회에) 최대 299명 방역 수칙 제한 범위가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맞춰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공공의 질서 유지 차원에서 공공질서를 위협하는 수준이 되면 현장 상황에 맞춰 판단해 질서 유지선을 가동하거나 경력 배치 지점을 정하는 등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원이 만 명이든 얼마든 간 상황에 따라 공공 안녕질서 유지 차원에서 대응하고 조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경찰은 한국외식업중앙회 쪼개기 후원 의혹과 관련해 지난 5일 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가 압수수색을 실시한 데 이어 절차에 따라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쪼개기 후원 의혹이 제기된 대상 의원은 언급할 수 없지만 특정 정당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무단 입국과 관련해서는 외교부에서 여권법 위반 혐의로 6명에 대해 4차례 고발했고, 서울경찰청 국제범죄수사 2계가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6명 중 4명은 귀국했고, 이 중 3명은 조사한 뒤 지난 1일 여권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며 "(귀국한) 나머지 1명은 조사 예정이고 이근 씨 등 나머지 피고발인 2명은 귀국하는 대로 조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송치된 3명 중 2명은 이근 전 대위(유튜버)와 함께 우크라이나로 간 이들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외에도 경찰은 LG유플러스와 클리오 직원의 횡령 혐의 사건에 대해서도 출국금지 조처와 동시에 수사를 진행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LG유플러스 횡령 의혹 직원은 고소 전 해외로 출국해 입국 시 통보절차, 인터폴과 국제 공조 절차를 거쳤고 나머지 피의자 2명은 출국금지 조처하고 곧 소환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클리오 횡령 사건은 대상자를 출국금지하고 1차 소환조사했다"며 "계좌 관련 보강 수사 중이고, 범죄수익 은닉 여부도 함께 수사해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최 청장에게 현직 경찰 간부(경정)의 승진 인사를 청탁한 브로커 사건에 대해서는 관련자 2명을 입건해 수사 중에 있다.
단, 당사자들이 강하게 부인하고 있어 직위해제 등 징계 조처는 수사를 마친 뒤 할 방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