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충원·임금 인상 등 촉구
내일 시청앞서 투쟁 결의대회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오는 12월 12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공사 제1노조인 민주노총 산하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은 25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 일정과 요구 사항을 밝혔다.
노조는 공사 인력 감축을 중단하고 부당한 '임금 삭감'을 해결해야 한다"며 "노동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않으면 내달 12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총파업에 앞서 사측의 책임 있는 태도를 촉구하며, 오는 27일 시청 앞에서 대규모 총력 투쟁 결의대회도 개최할 방침이다.
이어 12월 1일부터는 규정에 따른 업무가 아닌 작업을 거부하는 등 준법 운행에 나선다.
주요 쟁점은 임금 인상, 구조조정, 신규 채용 규모다.
노조는 정부가 정한 올해 공공기관 임금 인상률(3%)을 적용하고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하라는 대법원 판결을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반면 공사는 재원 부족을 이유로 1.8% 인상이 한계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아울러 공사는 만성 적자 해소를 위해 정원 감축 등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보는 반면, 노조는 승무원 업무 부담이 커진다며 반대하고 있다. 신규 채용 역시 서울시 승인 없이는 단독 추진이 어렵다는 것이 공사 입장이다.
신규 채용 확대도 공사는 서울시 승인 없이 단독으로 추진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정부가 정한 공공기관 임금 인상률은 3%지만 사측은 재원 부족으로 1.8%만 가능하다는 입장으로, 정부 지침조차 준수하지 못하는 등 임금 후퇴가 현실화하고 있다"며 "노조 요구를 묵살하고 비용 절감, 경영 효율화 논리를 꺼내 든다면 파업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오세훈 서울시장과 서울시가 결자해지의 자세로 나서야 한다"면서 "서울시는 합당한 투자와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노조는 서울지방노동조정위원회를 통한 사측과의 쟁의 조정 절차를 밟았으나 법정 기한이 만료돼 지노위는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지난 14∼19일 쟁의행위 투표도 83.53%로 가결되면서 노조는 파업 등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한편 공사는 현재 1·2·3노조와 개별 교섭을 진행 중이다. 공사에는 1노조 외에 한국노총 소속 2노조인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 MZ 노조로 불리는 3노조 서울교통공사 올바른노동조합이 있다.
지난 7월 기준 조합원 수는 1노조가 약 57.4%를 차지해 가장 많다. 이어 2노조(16.4%), 3노조(12.6%) 순이다.
공사 2노조와 3노조 모두 지노위 조정이 중지됐고 쟁의행위 투표도 가결되면서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했다.
2노조는 임금 인상과 안전인력 충원 등 공사의 향후 대응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며, 3노조는 26일 시청 앞 기자회견에서 향후 쟁의행위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