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역 착수
[남악=황승순 기자] 전남도가 김 양식장에서 파래, 규조류 등 잡조 제거, 병해 방제 등을 위해 사용하는 김 활성처리제의 효능을 높이고, 처리 시간을 단축하며 비용을 절감하는 새로운 김 활성처리제와 처리장치 개발에 나선다.
그동안 김양식 어업인은 유기산 김 활성처리제가 효과가 낮고, 가격도 비싸며, 처리 시간도 많이 소요돼 사용을 기피했다. 무기산을 사용하다 단속에 적발돼 전과자로 전락하는 사례도 많다.
이에 따라 효과 좋고 사용하기 편리한 김 활성처리제를 개발하기 위해 19일 김 활성처리제 개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은 전남도와 수산업협동조합이 공동으로 10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수행한다.
기존 김 활성처리제 사용실태를 분석해 효율경제성편의성을 고려한 새로운 김 활성처리제를 개발하고, 사용제조 방법을 확립하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처리장치를 개발하게 된다.
도와 수협중앙회, 김 양식을 많이 하는 고흥해남진도신안군수협이 연구개발 사업비를 공동 분담하고, 한국김생산어민연합회가 현장 실험을 적극 지원하는 등 민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김양식 어업인의 큰 관심 속에 이뤄질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 사용하는 김 활성처리제의 효율이 떨어져 해상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어업인의 애로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에 나서게 됐다”며 “김 산업의 세계화와 수출 확대를 위해 효과가 좋고 안전한 새로운 김 활성처리제를 개발, 김 양식어업인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