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지도부가 ‘용퇴혁신안’ 의결 안 해도 혁신안 좌초 아냐”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의 '지도부? 중진? 친윤 희생' 혁신안의 데드라인이 다가오며 지도부와 혁신위의 갈등이 고조되는 양상이다. 인 위원장이 혁신안과 함께 던진 '셀프 공관위원장 추천' 카드의 응답 시한도 다가왔지만, 김기현 대표는 이미 거절한 상태여서 당 지도부가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희박하다.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4일 혁신위의 '용퇴 혁신안'에 대해 "공천과 관련된 것은 당헌당규상 공관위의 권한"이라고 선을 그었다.
장 청년최고는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혁신안의 취지를 잘 받아들여서 공천룰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지만, 혁신위가 원하는 대로 지도부가 의결하지 않는다고 해서 혁신안을 좌초시키는 것이라는 흑백논리에는 동의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혁신위 안건의 어떤 구체성, 예를 들면 정량적인 기준을 내세워서 공천 점수 감점을 하자거나, 또는 가점을 주자거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의결 여부를 고민할 수 있지만 지금 언론에 보도되는 친윤, 중진이란 단어들은 정치적 단어"라며 "그 부분에 대해서 지도부가 일방 의결을 하는 것 자체가 가능한지가 조금 의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최고위가 해당 혁신안을 지지한다는 차원에서 의결한 뒤 공관위로 보낼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더 힘을 실어주면 좋겠다는 의견을 갖고 있지만, 공관위원장이라는 발언이 인요한 위원장의 입에서 나오지 않았느냐"며 "지도부 안에서 혁신위를 많이 응원했던 젊은 최고위원들도 거기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운신의 폭이 오히려 좁아진 측면이 있다"고 답했다.
그는 혁신위가 '조기 해산'하면 김기현 지도부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지적에는 "혁신위 활동 성패는 어떤 기조와 큰 방향성을 제시한 것을 기준으로 삼아야지 빨리 되고 안 되고를 기준으로 삼을 필요가 없다"라고 일축했다.
이어 "총선기획단에서 혁신위가 제시했던 안건 중에 '하위 20% 컷오프' 이상으로 확대해 많이 하겠다는 등 이미 혁신위 안건을 상당 부분 수용하는 등의 기조가 이어진다면 어떻게 혁신위의 실패가 될 수 있나"라면서 "돌아가는 물레방아가 뒤로 돌아가기 힘든 것처럼 여러 여론의 흐름이 혁신위에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누가 공관위원장으로 임명되고 공관위가 어떻게 구성되든 간에 내놓은 안건들의 취지가 반영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항간에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 이야기가 나오는 데 대해선 "지금 현재 상황에서는 그게 논의할 게재는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