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장이 혁신안을 발표한 이후 처음으로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의원총회에서 대의원제 축소와 공천 룰을 손질하는 것을 골자로 한 혁신안을 놓고 불만이 쏟아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17일 “어제 열린 의총에서 비명계에선 이재명 지도부 총사퇴요구까지 나왔다”라며 “친명계는 맞대응을 자제하며 확전을 피한 모양새이지만 28, 29일 예정된 의원 워크숍은 또다시 계파 갈등의 분수령이 될 것 같다”고 전날 의총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로 비명계 홍영표 의원은 의총에서 "특정인을 당대표로 만드는 걸 염두에 두고 대의원제 폐지를 주장하는 것이냐"라고 비판했다.
김종민 의원은 "윤석열 정권이 이렇게 망가지고 있는데, 민주당이 그보다 지지율이 떨어지고 있는 게 말이 되느냐"며 "근본적으로 지도부가 책임을 지고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혁신안의 또 다른 핵심인 공천룰 손질에 대한 불만도 나왔다.
조응천 의원은 현역의원 등 선출직 공직자 평가 강화 방침에 대해 "돈 봉투 사건이나 가상화폐(코인) 논란이 평가 강화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며 "그리고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장도 친명계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앞서 혁신위는 당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간 '1인 1표'로 등가성을 맞춰 사실상 대의원제 폐지나 다름없게 권한을 축소하도록 제안했다. 이를 두고 사법리스크를 안고 있는 이 대표가 물러날 경우를 대비해 강성 당원들의 영향력을 강화해 친명계가 계속 당권을 쥐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게 비명계의 인식이다.
그러나 친명계는 혁신안 수용을 주장한 정청래 의원을 제외하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실제로 의총에서 20명의 발언자 가운데 정 의원 정도만 혁신안 수용 주장을 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석 의원은 "정 의원 외엔 혁신안에 찬성하는 의견이 거의 없었다"며 "(혁신위가) 엉뚱한 해답을 내놨으니 총선 이후로 논의를 미뤄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이재명 대표는 의총 뒤 "다양한 의견들이 존중되도록 의견들을 잘 모아 나가야 할 것"이라는 원론적 발언만 반복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