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경현 시장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반드시 만들어가겠다”고 밝히고 있다[사진=최광대 기자]
[구리=최광대 기자] 구리시가 오랫동안 논란에 휘말렸던 아이타워와 랜드마크 건립사업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혜택 중심으로 재추진한다. 전임 집행부 시절 제기됐던 헐값 매각 의혹과 불투명한 계약 문제를 바로잡고, 공공 재산의 가치를 지키며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백경현 구리시장은 24일 오후2시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이타워·랜드마크 사업에 대한 구리시의 공식 입장을 밝혔다. 백 시장은 “그동안 시민 우려가 컸던 헐값 매각 논란을 바로잡고, 이번 사업은 철저히 공공성과 시민 편의 중심으로 추진하겠다”며 분명한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시의회와의 협의는 물론 시민 의견을 수렴해 투명하게 추진할 것”이라며 신뢰 회복에 자신감을 보였다.
랜드마크 사업 부지는 당초 600억 원대에 민간 매각이 추진됐으나, 법원과 중앙투자심사 과정에서 제동이 걸리며 구리도시공사가 이를 정상화했다. 이후 1,280억 원 기초금액 경쟁입찰로 전환하면서 공공재산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했고, 매각 과정에서는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시설들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8호선 연장 추가 출입구, e-스포츠 경기장, 스카이라운지 등 생활편익·문화복지 시설을 기부채납 받아 시민들에게 돌려주는 방식으로 사업을 설계했다.
지역 주민 박모 씨(40대·수택동)는 “지하철 출입구가 새로 생기면 출퇴근이 훨씬 편리해질 것 같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또 다른 주민은 “아이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이 들어서면 생활의 활력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타워 사업은 전임 집행부 당시 헐값 매각과 투자심사 미이행 문제로 시민 혈세 낭비 우려가 컸다. 그러나 현재 구리시는 재평가, 기부채납시설의 합리적 조정, 민간사업자와의 협의를 통해 공공이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특히 기부채납이 불필요하게 책정되었던 시설은 현실성 있게 조정하고, 유지관리 과정에서 시민 부담이 가지 않도록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부동산 개발 이익이 온전히 공공에 환원되도록 추진한다.
지역 상인은 “상업시설만 늘어나지 않고 기반시설까지 개선된다면 지역 경제에도 활력이 생길 것”이라며 반겼다.
구리시의회가 통과시킨 “출자 재산 매각 시 의회 사전의결 의무화 조례”는 이번 사업에 중요한 의미를 더한다. 앞으로 모든 과정이 투명하고 시민 중심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 것이다.
구리시는 이번 조치를 계기로 공공재산을 단순한 개발 수단이 아닌 시민 공동의 자산으로 보호하고, 도시 재생과 장기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구리시는 이번 아이타워·랜드마크 사업을 통해 단순히 건축물을 세우는 것을 넘어, 시민 생활에 직접 기여하는 도시 인프라를 확보하려 하고 있다. 이는 문화·교통·복지 분야 전반에서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구리시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백경현 시장은 “이번 사업의 가장 큰 원칙은 시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는 것”이라며 “사업 추진 과정마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반드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