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여영준 기자] 오는 6월30일까지 국고보조금 부정수급 비리 특별단속이 실시된다.
10일 경찰청에 따르면, 11일부터 전국 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와 일선 경찰서 지능팀 인력을 투입해 이같은 단속을 실시한다.
중점 단속대상은 ▲예산 부풀리기나 허위서류 작성 등으로 보조금을 허위신청해 가로채거나 횡령하는 행위 ▲특정 사업자에게 보조금 지원사업 관련 특혜를 제공하는 행위 ▲담당 공무원과 사업자 간 유착비리 ▲보조금 용도 외 사용 등 기타 운영비리다.
경찰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기관으로부터 보조금 관련 자료를 제공받아 수사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수사 과정에서 적발된 문제들은 보조금 운영기관에 통보해 부정수급액을 환수하게 하고, 정책 및 제도를 개선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국고보조금 규모는 복지 수요 증가에 따라 2016년 60조원에서 2017년 61조원, 2018년 68조원으로 매년 증가해왔다.
2019년에는 78조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경찰청은 이에 따라 관련 비리가 증가하자, 1월 말 11개 유관기관이 참여한 '보조금 부정수급 근절 유관기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 바 있다.
경찰은 국고보조금 부정수급 비리 근절을 2019년 상반기 과제로 선정, 적극 추진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국고보조금 부정수급을 근절하려면 경찰의 단속과 함께 국민들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0일 경찰청에 따르면, 11일부터 전국 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와 일선 경찰서 지능팀 인력을 투입해 이같은 단속을 실시한다.
중점 단속대상은 ▲예산 부풀리기나 허위서류 작성 등으로 보조금을 허위신청해 가로채거나 횡령하는 행위 ▲특정 사업자에게 보조금 지원사업 관련 특혜를 제공하는 행위 ▲담당 공무원과 사업자 간 유착비리 ▲보조금 용도 외 사용 등 기타 운영비리다.
경찰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기관으로부터 보조금 관련 자료를 제공받아 수사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수사 과정에서 적발된 문제들은 보조금 운영기관에 통보해 부정수급액을 환수하게 하고, 정책 및 제도를 개선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국고보조금 규모는 복지 수요 증가에 따라 2016년 60조원에서 2017년 61조원, 2018년 68조원으로 매년 증가해왔다.
2019년에는 78조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경찰청은 이에 따라 관련 비리가 증가하자, 1월 말 11개 유관기관이 참여한 '보조금 부정수급 근절 유관기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 바 있다.
경찰은 국고보조금 부정수급 비리 근절을 2019년 상반기 과제로 선정, 적극 추진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국고보조금 부정수급을 근절하려면 경찰의 단속과 함께 국민들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