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거점지역 34곳 추가 설치
내달 31일까지 위기가구 전수조사도 병행
[시민일보=황혜빈 기자] 서울 영등포구(구청장 채현일)는 소외된 이웃이 서면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수취인부담 우편제도인 '빨간우체통 제도'를 확대 운영한다.
구는 현재 설치된 기존 우체통과 우체국만으로는 우편 회수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빨간우체통을 자체 제작해 동별 복지거점지역 34곳에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빨간우체통 제도는 지역내 지하·옥탑방·고시원 등의 취약가구에 회송용 우편봉투와 편지형 안내문을 전달하면, 도움이 필요한 내용을 적어 가까운 우체통에 투입하거나 우체국에 접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에 따라 영구임대아파트, 다세대·다가구 주택 등의 주거취약가구가 밀집된 지역에 빨간우체통이 우선 설치될 예정이다.
안내문과 우편봉투를 함께 비치해 혹시라도 안내문을 전달받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고, 누구나 손쉽게 어려운 이웃을 발굴·신고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구는 오는 3월31일까지 ‘2019년 1분기 주민등록 일제조사’와 병행해 위기가구 전수조사에 나선다.
1인 가구 및 홀몸노인 등의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복지통장이 직접 방문해 취약계층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위기상황에 처한 이웃을 발굴해 긴급지원, 사례관리, 수급 신청, 민간자원 연계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구는 지난 2년간 빨간우체통 제도를 통해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 116가구를 발굴했다.
도움을 청한 상당수는 주변과 별다른 접촉 없이 혼자 사는 50·60대 1인 가구였으며, 제도를 통해 장기간 방치돼 왔던 복지 사각지대의 주민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채현일 구청장은 “도움의 손길이 필요하다면 언제든 빨간우체통을 통해 속마음을 털어놓길 바란다”며 “사회적으로 고립된 1인 가구와 은둔형 가정을 살리기 위해 주민과 함께 복지공동체를 강화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내달 31일까지 위기가구 전수조사도 병행
[시민일보=황혜빈 기자] 서울 영등포구(구청장 채현일)는 소외된 이웃이 서면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수취인부담 우편제도인 '빨간우체통 제도'를 확대 운영한다.
구는 현재 설치된 기존 우체통과 우체국만으로는 우편 회수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빨간우체통을 자체 제작해 동별 복지거점지역 34곳에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빨간우체통 제도는 지역내 지하·옥탑방·고시원 등의 취약가구에 회송용 우편봉투와 편지형 안내문을 전달하면, 도움이 필요한 내용을 적어 가까운 우체통에 투입하거나 우체국에 접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에 따라 영구임대아파트, 다세대·다가구 주택 등의 주거취약가구가 밀집된 지역에 빨간우체통이 우선 설치될 예정이다.
안내문과 우편봉투를 함께 비치해 혹시라도 안내문을 전달받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고, 누구나 손쉽게 어려운 이웃을 발굴·신고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구는 오는 3월31일까지 ‘2019년 1분기 주민등록 일제조사’와 병행해 위기가구 전수조사에 나선다.
1인 가구 및 홀몸노인 등의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복지통장이 직접 방문해 취약계층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위기상황에 처한 이웃을 발굴해 긴급지원, 사례관리, 수급 신청, 민간자원 연계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구는 지난 2년간 빨간우체통 제도를 통해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 116가구를 발굴했다.
도움을 청한 상당수는 주변과 별다른 접촉 없이 혼자 사는 50·60대 1인 가구였으며, 제도를 통해 장기간 방치돼 왔던 복지 사각지대의 주민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채현일 구청장은 “도움의 손길이 필요하다면 언제든 빨간우체통을 통해 속마음을 털어놓길 바란다”며 “사회적으로 고립된 1인 가구와 은둔형 가정을 살리기 위해 주민과 함께 복지공동체를 강화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