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이란 것이 또다른 세상을 내게 선물했어요.”
어려서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1급 시각장애인 신창현(43)씨가 오는 3월부터의 서울시 장애인복지과 근무(계약직)를 설레임속에 기다리고 있다.
1급 시각장애인인 그가 서울시 공무원이 된 것은 시역사상 처음있는 일이다. 그런만큼 공무원 사회는 물론 일반시민들 사이의 관심도 큰데 그의 새로운 공직 인생이 결코 공짜로 얻어진 것은 아니다.
선천성 녹내장으로 태어날때부터 세상의 빛과 단절된 그는 배움에 남다른 욕심을 부렸다. 단국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을 전공한 후 도미, 컬럼비아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장애인들이 생활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싶었다”는 그는 한국에 돌아와 대학강단에서 후학들을 가르쳐왔다.
“천직으로 알고 나와 같은 길을 걷게될 후배를 양성하고 또한 장애인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니 하루가 보람으로 가득했다”고 말하는 신창현씨.
그러나 지난 10월, 그에게는 또다른 삶의 길을 열어줄 ‘우연’이 기다리고 있었다. 지하철을 타고 가던중 옆자리에 앉은 사람이 말을 걸어오는 것이었다. 이런저런 얘기를 하던중 장애인복지를 전공한 그는 평소 가지고 있던 이야기 주머니를 자연스럽게 풀어놨다. 옆자리에 앉아 말을 걸어온 서울시청 문영모 장애인복지과장의 귀가 솔깃했던 것도 당연한 일.
문과장은 신씨에게 시청근무를 제의했고 신창현씨는 서울시 장애인들의 복지를 위해 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이다. “주위에서 축하한다는 말도 하지만 어렵게 공부했는데 대학에 나가는 것이 더 낫지 않느냐는 안타까움도 표시한다”면서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 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일한다면 그 또한 나의 보람”이라고 말한다.
/김영미기자 kimym@siminnews.net
어려서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1급 시각장애인 신창현(43)씨가 오는 3월부터의 서울시 장애인복지과 근무(계약직)를 설레임속에 기다리고 있다.
1급 시각장애인인 그가 서울시 공무원이 된 것은 시역사상 처음있는 일이다. 그런만큼 공무원 사회는 물론 일반시민들 사이의 관심도 큰데 그의 새로운 공직 인생이 결코 공짜로 얻어진 것은 아니다.
선천성 녹내장으로 태어날때부터 세상의 빛과 단절된 그는 배움에 남다른 욕심을 부렸다. 단국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을 전공한 후 도미, 컬럼비아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장애인들이 생활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싶었다”는 그는 한국에 돌아와 대학강단에서 후학들을 가르쳐왔다.
“천직으로 알고 나와 같은 길을 걷게될 후배를 양성하고 또한 장애인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니 하루가 보람으로 가득했다”고 말하는 신창현씨.
그러나 지난 10월, 그에게는 또다른 삶의 길을 열어줄 ‘우연’이 기다리고 있었다. 지하철을 타고 가던중 옆자리에 앉은 사람이 말을 걸어오는 것이었다. 이런저런 얘기를 하던중 장애인복지를 전공한 그는 평소 가지고 있던 이야기 주머니를 자연스럽게 풀어놨다. 옆자리에 앉아 말을 걸어온 서울시청 문영모 장애인복지과장의 귀가 솔깃했던 것도 당연한 일.
문과장은 신씨에게 시청근무를 제의했고 신창현씨는 서울시 장애인들의 복지를 위해 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이다. “주위에서 축하한다는 말도 하지만 어렵게 공부했는데 대학에 나가는 것이 더 낫지 않느냐는 안타까움도 표시한다”면서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 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일한다면 그 또한 나의 보람”이라고 말한다.
/김영미기자 kimym@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