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와 지방 선거가 예정된 2002년, `선거의 해`를 맞아 벌써부터 참여연대, 경실련, 환경연합 등 시민단체의 행보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 올 선거를 정치개혁의 기회로=참여연대(사무처장 박원순)는 올해를 정치개혁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세워놓았다.
대표 한 명이 공천권을 쥐고 있는 보스(boss) 중심의 정당문화가 우리 정치의 발전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이라는 판단 아래 후보자 공천에 일반 유권자가 참가하는 예비경선제 도입운동을 벌이고 있다. 또 1인1표제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을 계기로 정당명부제의 도입을 촉구하는 한편, 정치자금법 개혁작업도 함께 벌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에서 확정한 정당법·선거법·정치자금법 등 정치관계법 개정안의 수용을 선거를 앞둔 정치권에 강력하게 촉구하겠다는 전략이다. 참여연대측은 낙선운동을 또 벌일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이태호 정책실장은 “낙선운동 실시 여부에 대한 조직 전체의 입장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 후보자 정보공개 `업그레이드’=지난 4.13총선에서 경실련(사무총장 신철영)이 낙선운동에 참가하지 않은 것은 `시민단체가 선거에 직접 개입해선 안된다’는 내부 합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실련은 1989년 출범 이후 공정선거 감시운동을 벌이면서 “선거에서 시민단체의 역할은 유권자가 올바른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는 원칙을 지켜왔다.
경실련은 올해 양대 선거에서도 이런 원칙을 고수하면서 지난 총선에 이어 후보자 정보공개운동을 벌일 예정이다.
그러나 전과기록 등 출마자의 신상공개 차원에 그쳤던 정보공개운동을 정책공약의 타당성까지 검증해 유권자에게 제공하는 형식으로 `업그레이드’한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신사무총장은 “33개 지역 경실련을 중심으로 각 분야 전문가를 모아 출마자들의 공약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 결과를 경실련 홈페이지와 언론을 통해 공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본격적인 정치참여=지난해 지방 선거 참여를 선언하고 `녹색자치위원회’라는 소위원회까지 꾸렸던 환경련(사무총장 최열)은 새해 초부터 후보 선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환경련은 다음달까지 지역 환경단체들과의 협의를 거쳐 예비 `녹색후보’들을 선발하는 한편 각계 인사들로 구성된 `녹색후보 추천위원회’를 구성해 출마자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환경련은 이같은 적극적 정치참여를 `시민운동 영역의 확장’이라고 설명한다.
자치위 박진섭사무국장은 “지방자치제 출범 10년이 지나도록 개발위주의 정책만 난무하는 현실에 대한 반발로 직접 선거 참여를 결정하게 됐다"며 “녹색후보가 당선해 정책결정 과정에 참가할 경우 환경운동이 활성화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올 선거를 정치개혁의 기회로=참여연대(사무처장 박원순)는 올해를 정치개혁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세워놓았다.
대표 한 명이 공천권을 쥐고 있는 보스(boss) 중심의 정당문화가 우리 정치의 발전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이라는 판단 아래 후보자 공천에 일반 유권자가 참가하는 예비경선제 도입운동을 벌이고 있다. 또 1인1표제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을 계기로 정당명부제의 도입을 촉구하는 한편, 정치자금법 개혁작업도 함께 벌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에서 확정한 정당법·선거법·정치자금법 등 정치관계법 개정안의 수용을 선거를 앞둔 정치권에 강력하게 촉구하겠다는 전략이다. 참여연대측은 낙선운동을 또 벌일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이태호 정책실장은 “낙선운동 실시 여부에 대한 조직 전체의 입장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 후보자 정보공개 `업그레이드’=지난 4.13총선에서 경실련(사무총장 신철영)이 낙선운동에 참가하지 않은 것은 `시민단체가 선거에 직접 개입해선 안된다’는 내부 합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실련은 1989년 출범 이후 공정선거 감시운동을 벌이면서 “선거에서 시민단체의 역할은 유권자가 올바른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는 원칙을 지켜왔다.
경실련은 올해 양대 선거에서도 이런 원칙을 고수하면서 지난 총선에 이어 후보자 정보공개운동을 벌일 예정이다.
그러나 전과기록 등 출마자의 신상공개 차원에 그쳤던 정보공개운동을 정책공약의 타당성까지 검증해 유권자에게 제공하는 형식으로 `업그레이드’한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신사무총장은 “33개 지역 경실련을 중심으로 각 분야 전문가를 모아 출마자들의 공약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 결과를 경실련 홈페이지와 언론을 통해 공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본격적인 정치참여=지난해 지방 선거 참여를 선언하고 `녹색자치위원회’라는 소위원회까지 꾸렸던 환경련(사무총장 최열)은 새해 초부터 후보 선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환경련은 다음달까지 지역 환경단체들과의 협의를 거쳐 예비 `녹색후보’들을 선발하는 한편 각계 인사들로 구성된 `녹색후보 추천위원회’를 구성해 출마자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환경련은 이같은 적극적 정치참여를 `시민운동 영역의 확장’이라고 설명한다.
자치위 박진섭사무국장은 “지방자치제 출범 10년이 지나도록 개발위주의 정책만 난무하는 현실에 대한 반발로 직접 선거 참여를 결정하게 됐다"며 “녹색후보가 당선해 정책결정 과정에 참가할 경우 환경운동이 활성화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