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자치센터 활성화 조건

    기자칼럼 / 시민일보 / 2002-02-26 18:43:10
    • 카카오톡 보내기
    최애선 지방자치부 기자
    {ILINK:1} 일선 동사무소의 기능 전환으로 탄생한 주민자치센터가 개설 1년을 맞은 가운데 주민자치센터의 의미를 뒤돌아보고 활성화를 위한 모색하는 자치구가 속속 늘어나고 있다.

    구로구는 최근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자치센터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조사했고, 강동구와 마포구를 비롯해 다른 자치구들은 주민자치센터 활성화를 위한 주민 특별교육을 벌일 예정이라고 한다.

    주민참여가 강조되는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2000년부터 전면 설치된 주민자치센터가 ‘센터는 있는데 주민자치가 없다’는 지적이 늘고있어 자치구 나름대로 활로를 찾아보자는 취지에서다.

    애초 주민자치센터는 같은 지역에 사는 주민들이 공동체를 형성하고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장소라는 기능과 자발적으로 지역의 일들을 논의하는 주민자치의 장(場)을 목표로 출발했으나 현재 주민자치센터는 일선 동사무소 공무원들의 일과 시간에 맞춰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주민들이 이용할 수 밖에 없는게 현실이다.

    이런 사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동 주민자치위원 구성 맹점이다. 실제로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하는 주 대상은 여성, 특히 주부가 87.1%(열린사회시민연합 2000년 조사)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동 자치위원은 지역인사, 즉 남성이 70%를 넘게 차지해 주민들의 요구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주민자치센터의 천편일률적인 프로그램 운영이다. 대부분이 취미나 교양강좌 위주로 짜여져 있어 다양성이 없다. 타 문화시설과 차별화 된, 지역주민이 연대의식을 갖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물론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주민자치의 역할이 잘 되고 있는 독일의 주민자치센터 공회당도 활성화되기까지 20년이 넘게 걸렸다고 한다. 시행 1년에 즈음해 주민자치센터의 의미를 되새겨보고 활성화를 하고자 하는 자치구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할 때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주민들의 의사를 충분히 듣고 반영하는 적극적 자세를 갖아 점차적으로 주민들 손에 의해 운영되고 주민들이 편안히 이용할 수 있는 주민자치센터가 되도록 지금부터 각 자치구들은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