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공사(1∼4호선)가 주5일 근무제 시행에 대비, 공사의 경영여건에 맞는 근무제도 모형 개발에 나서는 등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한 검토작업에 들어가 귀추가 주목된다.
서울지하철공사는 팀장급을 단장으로 하고 역무와 운전, 차량, 사령, 시설, 설비 등 6개 분야별 과장급 이하 10명을 단원으로 하는 주5일 근무제 연구추진단을 구성, 6월말까지 운영키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추진단에서는 현 근무제도 및 보수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분석, 주5일 근무제에 맞는 근무제도 모형개발, 분야별 적정인력 산출 및 보수체계 개선, 아웃소싱 가능업무 검토 및 분석 등의 활동을 벌이게 된다.
지하철공사는 외국 지하철 등 유관기관 사례 파악과 서울시 및 지하철노조와의 충분한 협의 지하철공사측은 그러나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추진일정과 시행시기 등은 노사정 합의 및 관련법 개정시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처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최근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해 2년여 끌어온 노사정위원회 협상이 결렬돼 당초 올 7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려던 계획에 차질이 예상되는 가운데 지하철노조측은 노사정위 합의와 별도로 주5일 근무제 독자 추진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자칫 노사간 마찰도 예상된다.
지하철공사 관계자는 “지하철공사가 공기업인 점을 감안하면 노사정위 합의 결과와는 별도로 주5일 근무제를 공사 차원에서 독자 추진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지하철공사는 팀장급을 단장으로 하고 역무와 운전, 차량, 사령, 시설, 설비 등 6개 분야별 과장급 이하 10명을 단원으로 하는 주5일 근무제 연구추진단을 구성, 6월말까지 운영키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추진단에서는 현 근무제도 및 보수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분석, 주5일 근무제에 맞는 근무제도 모형개발, 분야별 적정인력 산출 및 보수체계 개선, 아웃소싱 가능업무 검토 및 분석 등의 활동을 벌이게 된다.
지하철공사는 외국 지하철 등 유관기관 사례 파악과 서울시 및 지하철노조와의 충분한 협의 지하철공사측은 그러나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추진일정과 시행시기 등은 노사정 합의 및 관련법 개정시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처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최근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해 2년여 끌어온 노사정위원회 협상이 결렬돼 당초 올 7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려던 계획에 차질이 예상되는 가운데 지하철노조측은 노사정위 합의와 별도로 주5일 근무제 독자 추진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자칫 노사간 마찰도 예상된다.
지하철공사 관계자는 “지하철공사가 공기업인 점을 감안하면 노사정위 합의 결과와는 별도로 주5일 근무제를 공사 차원에서 독자 추진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