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서울시가 최근 지하철 요금 인상 철회에 이어 시내버스 요금 인상안도 철회할 방침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민들은 대부분이 이를 반기는 입장이다. 아니 반기는 입장을 넘어서 두손들어 환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가 시민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통관련 정책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가 철회한 것만도 시장 취임 후 한달여만에 4건이나 달하고 있다.
지난달 초에 강남 아셈 지역과 동대문 지역을 교통혼잡관리구역으로 지정해 혼잡비를 부과한다는 것과 남산 1호터널 혼잡통행료 징수 시간을 토요일 오후 3시까지에서 6시까지로 연장한다는 방침이 불과 며칠만에 시장 발언에 따라 번복됐다.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지정은 당분간 검토를 연기하는 수준으로 혼잡통행료 징수 시간 연장은 오히려 시간 축소로 변했다.
게다가 지하철과 시내버스 요금 인상 철회가 뒤를 이었다.
이 모든 방침들은 당초 발표 후 시민들의 반발을 많이 샀던 것들이다.
물론 당초의 방침이 어찌됐건 간에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시정 방침을 변경했다면 이는 분명 환영해야 할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정 방침 변경이 당초 방침들이 확실한 검증 없이 근시안적인 정책으로 입안된 방침들이거나 올 연말 대선을 앞두고 시민들의 눈치를 보기 위함이라면 좀 생각을 해봐야 할 문제일 것이다.
왜냐하면 방침 변경에 따라 미소를 짓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분명 다른 한 곳에서는 하소연을 내뿜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이다.
이명박시장이 취임후 한달여동안 민원발생건수가 지난 민선2기 때보다 38%가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민원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이시장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정말로 필요하고 고쳐져야 하는 것도 있을 것이다.
이같은 현실을 감안할 때 무엇보다도 이번 시정 변경 방침이 시민들의 전체적인 이익을 위한 결정이 되고 다음부터는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검증이 따른 후에 정책 발표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민들은 대부분이 이를 반기는 입장이다. 아니 반기는 입장을 넘어서 두손들어 환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가 시민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통관련 정책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가 철회한 것만도 시장 취임 후 한달여만에 4건이나 달하고 있다.
지난달 초에 강남 아셈 지역과 동대문 지역을 교통혼잡관리구역으로 지정해 혼잡비를 부과한다는 것과 남산 1호터널 혼잡통행료 징수 시간을 토요일 오후 3시까지에서 6시까지로 연장한다는 방침이 불과 며칠만에 시장 발언에 따라 번복됐다.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지정은 당분간 검토를 연기하는 수준으로 혼잡통행료 징수 시간 연장은 오히려 시간 축소로 변했다.
게다가 지하철과 시내버스 요금 인상 철회가 뒤를 이었다.
이 모든 방침들은 당초 발표 후 시민들의 반발을 많이 샀던 것들이다.
물론 당초의 방침이 어찌됐건 간에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시정 방침을 변경했다면 이는 분명 환영해야 할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정 방침 변경이 당초 방침들이 확실한 검증 없이 근시안적인 정책으로 입안된 방침들이거나 올 연말 대선을 앞두고 시민들의 눈치를 보기 위함이라면 좀 생각을 해봐야 할 문제일 것이다.
왜냐하면 방침 변경에 따라 미소를 짓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분명 다른 한 곳에서는 하소연을 내뿜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이다.
이명박시장이 취임후 한달여동안 민원발생건수가 지난 민선2기 때보다 38%가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민원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이시장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정말로 필요하고 고쳐져야 하는 것도 있을 것이다.
이같은 현실을 감안할 때 무엇보다도 이번 시정 변경 방침이 시민들의 전체적인 이익을 위한 결정이 되고 다음부터는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검증이 따른 후에 정책 발표가 있어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