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산지역 공무원들의 부패 정도는 심각하며 금품수수나 불법청탁 관행도 근절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패방지 투명한 안산만들기 추진위원회’가 여론조사기관인 애드앤 리서치에 의뢰, 시민 300명을 대상으로 공무원의 부정부패 등에 관해 1대 1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안산시 공무원의 부패 정도는 ‘심각하다’와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각각 전체의 26,3%, 4%를 기록했다.
이는 ‘심각하지 않다’(13.3%), ‘전혀 심각하지 않다’(1.7%) 등 긍정적인 평가에 비해 15.3% 포인트나 높은 것으로 부패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안산지역 주요 기관-단체 공직자의 청렴도에 대해서도 ‘낮은 편’(23.7%)이거나 ‘매우 낮다’(4.3%)는 부정적인 응답이 ‘높은 편’(10.3%), ‘매우 높다’(0.7%)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공무원의 청렴성은 ‘발전’(21%)되거나 ‘매우 발전’(1.7%)됐다는 의견이 ‘퇴보’(12.3%) 또는 ‘매우 퇴보’(3.7%)했다는 의견에 비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공직자들에게 금품제공이나 불법청탁을 한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전체의 86.7%가 ‘없다’고 답한 가운데 13.3%는 ‘있다’고 응답해 금품 제공 등의 비리가 아직도 근절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타 시도 공무원과 청렴성을 비교한 결과 ‘높다’는 응답은 14.7%에 그친 반면 ‘낮거나 매우 낮다’는 응답은 32%에 달했다.
/안산=김균식기자 kyunsik@siminnews.net
‘부패방지 투명한 안산만들기 추진위원회’가 여론조사기관인 애드앤 리서치에 의뢰, 시민 300명을 대상으로 공무원의 부정부패 등에 관해 1대 1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안산시 공무원의 부패 정도는 ‘심각하다’와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각각 전체의 26,3%, 4%를 기록했다.
이는 ‘심각하지 않다’(13.3%), ‘전혀 심각하지 않다’(1.7%) 등 긍정적인 평가에 비해 15.3% 포인트나 높은 것으로 부패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안산지역 주요 기관-단체 공직자의 청렴도에 대해서도 ‘낮은 편’(23.7%)이거나 ‘매우 낮다’(4.3%)는 부정적인 응답이 ‘높은 편’(10.3%), ‘매우 높다’(0.7%)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공무원의 청렴성은 ‘발전’(21%)되거나 ‘매우 발전’(1.7%)됐다는 의견이 ‘퇴보’(12.3%) 또는 ‘매우 퇴보’(3.7%)했다는 의견에 비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공직자들에게 금품제공이나 불법청탁을 한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전체의 86.7%가 ‘없다’고 답한 가운데 13.3%는 ‘있다’고 응답해 금품 제공 등의 비리가 아직도 근절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타 시도 공무원과 청렴성을 비교한 결과 ‘높다’는 응답은 14.7%에 그친 반면 ‘낮거나 매우 낮다’는 응답은 32%에 달했다.
/안산=김균식기자 kyunsik@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