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예산 32억 착복 혐의도
[시민일보=여영준 기자] 한국가스안전공사 간부가 통신 회선 사업 계약유지를 대가로 이동통신업체로부터 16년간 18억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충북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가스안전공사 간부급 직원 A씨(51)의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등의 혐의를 확인하고 해외로 달아난 그를 추적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A씨는 가스안전공사의 음성군 본 청사 통신망 회선 설치 사업자 계약유지를 조건으로 모 이동통신업체 부장 B씨(50) 등으로부터 18억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2002년부터 지난 2018년 7월까지 매달 500만원씩 총 11억원을 B씨로부터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B씨는 A씨에게 뇌물을 건넨 대가로 5년마다 갱신되는 가스안전공사 통신망 계약 연장을 따냈다.
또한 A씨는 B씨가 소속된 통신업체의 협력업체 직원인 C씨(47)와 D씨(55)로부터도 가스안전공사 건물 통신 설비 사업자·유지 보수 업체 선정을 대가로 7억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에도 A씨는 B씨와 짜고 가스안전공사의 통신 회선 유지·보수 예산 32억원을 착복한(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도 받는다.
A씨는 B씨가 통신 회선 유지·보수 명목으로 매달 3000만원의 가스안전공사 예산을 지인 명의의 하도급 통신업체(페이퍼컴퍼니)에 보내면, 이를 되돌려 받는 수법으로 예산을 가로챘다.
경찰 수사가 시작되자 A씨는 지난 2018년 10월 필리핀으로 출국했다. 이에 경찰은 A씨에 대해 인터폴 적색 수배를 내렸다.
B씨에 대해서는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공여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로 구속한 뒤, 사건을 검찰에 넘겼다.
아울러 경찰은 뇌물공여 혐의를 받는 C씨와 D씨를 비롯해 범행에 가담한 하도급 업체 대표 E씨(46)와 F씨(44)도 뇌물공여 방조 혐의 등으로 각각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 관계자는 "IT 담당자가 외부 업체 선정 및 계약문제 등을 도맡아 관련 업체와 영업담당자가 부정행위를 해도 쉽게 발각되지 않았다"며 "범행에 가담한 윗선이 있는지 등을 계속 수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앞서 가스안전공사는 내부 감사 과정에서 입찰 비리 정황을 포착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경찰은 지난 2018년 가스안전공사 본사를 압수 수색해 확보한 통신 회선 사업자 계약 관련 문서 등을 토대로 A 씨 등의 혐의를 특정했다.
[시민일보=여영준 기자] 한국가스안전공사 간부가 통신 회선 사업 계약유지를 대가로 이동통신업체로부터 16년간 18억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충북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가스안전공사 간부급 직원 A씨(51)의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등의 혐의를 확인하고 해외로 달아난 그를 추적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A씨는 가스안전공사의 음성군 본 청사 통신망 회선 설치 사업자 계약유지를 조건으로 모 이동통신업체 부장 B씨(50) 등으로부터 18억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2002년부터 지난 2018년 7월까지 매달 500만원씩 총 11억원을 B씨로부터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B씨는 A씨에게 뇌물을 건넨 대가로 5년마다 갱신되는 가스안전공사 통신망 계약 연장을 따냈다.
또한 A씨는 B씨가 소속된 통신업체의 협력업체 직원인 C씨(47)와 D씨(55)로부터도 가스안전공사 건물 통신 설비 사업자·유지 보수 업체 선정을 대가로 7억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에도 A씨는 B씨와 짜고 가스안전공사의 통신 회선 유지·보수 예산 32억원을 착복한(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도 받는다.
A씨는 B씨가 통신 회선 유지·보수 명목으로 매달 3000만원의 가스안전공사 예산을 지인 명의의 하도급 통신업체(페이퍼컴퍼니)에 보내면, 이를 되돌려 받는 수법으로 예산을 가로챘다.
경찰 수사가 시작되자 A씨는 지난 2018년 10월 필리핀으로 출국했다. 이에 경찰은 A씨에 대해 인터폴 적색 수배를 내렸다.
B씨에 대해서는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공여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로 구속한 뒤, 사건을 검찰에 넘겼다.
아울러 경찰은 뇌물공여 혐의를 받는 C씨와 D씨를 비롯해 범행에 가담한 하도급 업체 대표 E씨(46)와 F씨(44)도 뇌물공여 방조 혐의 등으로 각각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 관계자는 "IT 담당자가 외부 업체 선정 및 계약문제 등을 도맡아 관련 업체와 영업담당자가 부정행위를 해도 쉽게 발각되지 않았다"며 "범행에 가담한 윗선이 있는지 등을 계속 수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앞서 가스안전공사는 내부 감사 과정에서 입찰 비리 정황을 포착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경찰은 지난 2018년 가스안전공사 본사를 압수 수색해 확보한 통신 회선 사업자 계약 관련 문서 등을 토대로 A 씨 등의 혐의를 특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