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지금 우리 언론은 국민과 역사로부터 변화와 개혁을 분명하게 요구받고 있다. 하지만 언론의 변화와 개혁이 자칫 부작용만 낳은 채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해서는 안된다.
그렇다면 언론개혁은 어떤 방향으로 진행돼야 하는가. 우선 일부언론(특정 전국지)이 신문시장을 독과점, 여론을 독점적으로 지배·왜곡하는 현상을 막는 것이 급선무다. 다음으로 지방지 육성책을 조속히 제정해야 할 것이다.
지방언론의 발전 없이는 지방시대, 즉 지방분권화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민 자치의 제도화와 주민 참여가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방분권화를 추진할 경우 잘못된 지방정치를 더욱 부추길 우려가 있다.
사실 분권은 자치를 할 수 있는 필요조건의 하나일뿐이지 자치를 성공으로 이끄는 묘약은 아니다. 오히려 잘못된 분권은 자치단체장의 권력과 관료주의를 부풀리고 행정·재정적 효율성을 더욱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자치단체장의 권력과 관료주의를 제재, 감시·감독할 수 있는 지방지 육성책을 마련하는 것이 분권보다 훨씬 앞서야 한다.
더구나 지방이 몰락하는 이유는 지방정부의 권한이 작거나 지방에 대한 투자가 적은 것이 원인은 아니라 그것을 제대로 소화해 낼 수 있는 협력 체제와 개방적 자세가 미흡하기 때문이라는 점에서 지방지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할 수밖에 없다.
즉 지자체와 의회 지방대학 지방기업 등을 연결고리로하는 ‘협동 네트워크 형성’이 선행돼야만 지방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데 바로 지방지가 그 네트워크 형성에 핵심 포인트인 셈이다. 이쯤되면 언론개혁이 지방지 육성으로부터 출발해야하는 이유를 재삼 거론할 필요가 없지 않은가.
소위 허파에 바람이 들어간 단체장들이나 전국지를 파트너로 인식하지 원혜영 부천시장이나 김우중 동작구청장 등 유능한 단체장들은 결코 지방지를 외면하지 않는다.
‘협동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할 만큼 지방자치문제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원 시장이나 김 청장 등은 지방자치발전에 무수한 업적을 남기고 있어 성공한 단체장으로 역사에 기록될만한 인물들이다.
다시 말하지만 지방지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면 특정 몇몇 전국지들의 언론시장독과점으로 인한 여론왜곡현상을 결코 막을 수 없다.
또 언론자유와 지방문화 창달에 앞장서며 자정·자구 노력을 기울이는 지방지를 방치한 언론개혁과 언론정상화는 물론, 지방분권은 아무 의미가 없다. 따라서 언론개혁은 이런 문제들을 보완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정상적인 언론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그래서 국민의 지탄을 받는 소위 ‘사이비언론’을 퇴출시키는 것도 언론개혁에 당연히 포함돼야만 한다.
그렇다면 언론개혁은 어떤 방향으로 진행돼야 하는가. 우선 일부언론(특정 전국지)이 신문시장을 독과점, 여론을 독점적으로 지배·왜곡하는 현상을 막는 것이 급선무다. 다음으로 지방지 육성책을 조속히 제정해야 할 것이다.
지방언론의 발전 없이는 지방시대, 즉 지방분권화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민 자치의 제도화와 주민 참여가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방분권화를 추진할 경우 잘못된 지방정치를 더욱 부추길 우려가 있다.
사실 분권은 자치를 할 수 있는 필요조건의 하나일뿐이지 자치를 성공으로 이끄는 묘약은 아니다. 오히려 잘못된 분권은 자치단체장의 권력과 관료주의를 부풀리고 행정·재정적 효율성을 더욱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자치단체장의 권력과 관료주의를 제재, 감시·감독할 수 있는 지방지 육성책을 마련하는 것이 분권보다 훨씬 앞서야 한다.
더구나 지방이 몰락하는 이유는 지방정부의 권한이 작거나 지방에 대한 투자가 적은 것이 원인은 아니라 그것을 제대로 소화해 낼 수 있는 협력 체제와 개방적 자세가 미흡하기 때문이라는 점에서 지방지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할 수밖에 없다.
즉 지자체와 의회 지방대학 지방기업 등을 연결고리로하는 ‘협동 네트워크 형성’이 선행돼야만 지방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데 바로 지방지가 그 네트워크 형성에 핵심 포인트인 셈이다. 이쯤되면 언론개혁이 지방지 육성으로부터 출발해야하는 이유를 재삼 거론할 필요가 없지 않은가.
소위 허파에 바람이 들어간 단체장들이나 전국지를 파트너로 인식하지 원혜영 부천시장이나 김우중 동작구청장 등 유능한 단체장들은 결코 지방지를 외면하지 않는다.
‘협동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할 만큼 지방자치문제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원 시장이나 김 청장 등은 지방자치발전에 무수한 업적을 남기고 있어 성공한 단체장으로 역사에 기록될만한 인물들이다.
다시 말하지만 지방지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면 특정 몇몇 전국지들의 언론시장독과점으로 인한 여론왜곡현상을 결코 막을 수 없다.
또 언론자유와 지방문화 창달에 앞장서며 자정·자구 노력을 기울이는 지방지를 방치한 언론개혁과 언론정상화는 물론, 지방분권은 아무 의미가 없다. 따라서 언론개혁은 이런 문제들을 보완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정상적인 언론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그래서 국민의 지탄을 받는 소위 ‘사이비언론’을 퇴출시키는 것도 언론개혁에 당연히 포함돼야만 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