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참여정부 들어 처음으로 대대적인 공직기강 감찰에 들어갔다.
16일 감사원에 따르면 감사원은 16일부터 감사인력 67명을 투입해 전국에서 다음달 9일까지 계속된다.
감찰 활동은 ▲공사발주·물품구매 등과 관련한 금품수수 ▲법인이나 기관공용 카드를 개인용도로 사용한 행위 ▲인·허가관련 청탁 및 금품수수 ▲공직자의 근무태만 행위 ▲공무상의 정보를 이용한 주식취득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감사원은 이번 감찰에서 공공기관의 위법·부당한 행정처리로 피해를 보았다고 주장하는 민원제기 사항에 대한 조사도 철저히 실시해 조기에 민원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국민들의 국정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민단체 등이 제기한 감사청구 사항에 대해서는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감사원 관계자는 “이번 감사에서 300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 감사원에 제출된 국민감사청구건 27건이 중점 조사를 받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참여정부가 100일을 넘기면서 이익단체의 잦은 집단행동 등으로 흐트러진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처음으로 공직기강 감찰을 벌이는 것”이라며 “고질적 비리 및 비리 개연성이 높은 취약분야와 기관 등에 대한 직무감찰을 강화하고 참여정부 들어 조직개편 등 공직사회 불안요인에 따른 공직기강 해이와 부처간 업무협조 미진 사례를 집중 점검해 엄정한 공직기강을 확립하는 것이 올해의 감사활동 방향”이라고 밝혔다.
한편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은 이날 감사원 의 공무원 직무감찰 계획 등에 따른 `공직사정’ 관측에 대해 “연간 계획에 의해 하는 것”이라며 “청와대 입장은 상시 복무감찰 체제이지 과거와 같은 몰아치기 기획사정, 감찰은 안한다는 게 원칙”라고 말했다.
문 수석은 이날 “지금 국민이 아주 우려할 만한 공직자들의 복지부동 등 기강문제가 있는 게 아니지 않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서도 청와대 비서관급이상 직원들에 대한 비리제보 접수와 내부감찰에 관한 언론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이석태 공직기강비서관도 기자와의 통화에서 “각 부처에서 파악하고 접수되는 것, 기타 제보되는 것들을 필요에 따라 조사, 감찰하고 있지만 지금 특별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joy@siminnews.net
16일 감사원에 따르면 감사원은 16일부터 감사인력 67명을 투입해 전국에서 다음달 9일까지 계속된다.
감찰 활동은 ▲공사발주·물품구매 등과 관련한 금품수수 ▲법인이나 기관공용 카드를 개인용도로 사용한 행위 ▲인·허가관련 청탁 및 금품수수 ▲공직자의 근무태만 행위 ▲공무상의 정보를 이용한 주식취득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감사원은 이번 감찰에서 공공기관의 위법·부당한 행정처리로 피해를 보았다고 주장하는 민원제기 사항에 대한 조사도 철저히 실시해 조기에 민원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국민들의 국정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민단체 등이 제기한 감사청구 사항에 대해서는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감사원 관계자는 “이번 감사에서 300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 감사원에 제출된 국민감사청구건 27건이 중점 조사를 받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참여정부가 100일을 넘기면서 이익단체의 잦은 집단행동 등으로 흐트러진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처음으로 공직기강 감찰을 벌이는 것”이라며 “고질적 비리 및 비리 개연성이 높은 취약분야와 기관 등에 대한 직무감찰을 강화하고 참여정부 들어 조직개편 등 공직사회 불안요인에 따른 공직기강 해이와 부처간 업무협조 미진 사례를 집중 점검해 엄정한 공직기강을 확립하는 것이 올해의 감사활동 방향”이라고 밝혔다.
한편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은 이날 감사원 의 공무원 직무감찰 계획 등에 따른 `공직사정’ 관측에 대해 “연간 계획에 의해 하는 것”이라며 “청와대 입장은 상시 복무감찰 체제이지 과거와 같은 몰아치기 기획사정, 감찰은 안한다는 게 원칙”라고 말했다.
문 수석은 이날 “지금 국민이 아주 우려할 만한 공직자들의 복지부동 등 기강문제가 있는 게 아니지 않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서도 청와대 비서관급이상 직원들에 대한 비리제보 접수와 내부감찰에 관한 언론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이석태 공직기강비서관도 기자와의 통화에서 “각 부처에서 파악하고 접수되는 것, 기타 제보되는 것들을 필요에 따라 조사, 감찰하고 있지만 지금 특별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joy@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