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팔당호 상류지역 7개 시·군은 물론 양평 군민들은 그동안 환경문제는 개발논리에 밀려왔지만 삶의 질을 높이는 환경시책이 우선돼야 한다는 판단 아래 쾌적하고 깨끗한 환경조성을 위해 맑은 물 지키기와 친환경 농업 운동을 펼쳐왔다.
특히 지난 5월 15일 환경부에서 팔당 대청호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종합대책 고시개정(안)에 대해 255개리 이장단, 새마을 지도자, 부녀회장 총 사퇴하는 기자회견을 지난 18일 군청회의실에서 갖는 등 시민단체 및 군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21일 양평 이장단과 군민들은 “팔당호 수질보전 책임을 지역주민들에게 물어 온갖 규제를 강화시키려는 환경부 정책에 놀아날 수 없다”며 “상수원 수질관리 정책의 실패한 환경부가 이제 상류지역 주민들을 수질악화의 주범으로 몰고 있다”고 밝혔다.
또 “환경부의 특별대책고시(안)나 결정권자의 과거 낡은 구시대적 발상에 굴하지 않고 군민들의 생존권을 위해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개정안의 취지나 목적 그 지향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은 물론 공청회를 통해 설득력을 얻어 홍보를 하고 지역주민들의 입장과 현실여건을 제대로 수렴하고 전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졸속 추진했다.
이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무시한 게 아니냐는 여론에 힘을 주어 지역민들의 분노를 더욱 자아내었다.
또 대화, 타협, 절차, 정당성을 군민들에게 공개하지 않고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 작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다.
환경부는 상수원 수질보전 대책 고시개정은 민감하고 중요한 지역 현안이므로 주민들에게 반드시 제대로 알려야 할 의무가 있고 주민들의 여론과 지역의 현실여건을 환경부가 제대로 반영해야 할 의무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여건을 제대로 수렴하는 절차를 밟지 않아 주민들을 화나게 하고 분통을 터트리게 했다.
또 지역주민들의 가슴에 허탈감만 심어주고 수질 악화에 책임을 상류지역 주민에게 전가, 탁상행정이 규제 일변도의 정책이 드러나고 있어 안타깝다.
특히 지난 5월 15일 환경부에서 팔당 대청호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종합대책 고시개정(안)에 대해 255개리 이장단, 새마을 지도자, 부녀회장 총 사퇴하는 기자회견을 지난 18일 군청회의실에서 갖는 등 시민단체 및 군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21일 양평 이장단과 군민들은 “팔당호 수질보전 책임을 지역주민들에게 물어 온갖 규제를 강화시키려는 환경부 정책에 놀아날 수 없다”며 “상수원 수질관리 정책의 실패한 환경부가 이제 상류지역 주민들을 수질악화의 주범으로 몰고 있다”고 밝혔다.
또 “환경부의 특별대책고시(안)나 결정권자의 과거 낡은 구시대적 발상에 굴하지 않고 군민들의 생존권을 위해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개정안의 취지나 목적 그 지향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은 물론 공청회를 통해 설득력을 얻어 홍보를 하고 지역주민들의 입장과 현실여건을 제대로 수렴하고 전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졸속 추진했다.
이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무시한 게 아니냐는 여론에 힘을 주어 지역민들의 분노를 더욱 자아내었다.
또 대화, 타협, 절차, 정당성을 군민들에게 공개하지 않고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 작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다.
환경부는 상수원 수질보전 대책 고시개정은 민감하고 중요한 지역 현안이므로 주민들에게 반드시 제대로 알려야 할 의무가 있고 주민들의 여론과 지역의 현실여건을 환경부가 제대로 반영해야 할 의무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여건을 제대로 수렴하는 절차를 밟지 않아 주민들을 화나게 하고 분통을 터트리게 했다.
또 지역주민들의 가슴에 허탈감만 심어주고 수질 악화에 책임을 상류지역 주민에게 전가, 탁상행정이 규제 일변도의 정책이 드러나고 있어 안타깝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