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지난달 21일부터 토요일마다 실시해 온 ‘캐주얼데이(평상복의 날)’를 근무 분위기를 부드럽고 활기차게 하고 창의성과 근무 능률을 높이기 위해 8월말까지 평일에도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윤덕홍 교육부총리가 최근 복장규정에 얽매이지 말고 업무에 방해가 되지 않고 품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편안한 복장으로 일할 수 있게 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
‘품위유지와 공직예절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깨끗한 캐주얼 차림을 권장한다’는 단서조항과 ‘의전 및 대외업무 수행시는 단정한 정장차림으로 한다’는 유의사항이 붙어있지만 사실상 ‘복장자율화’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상대방에게 불쾌감이나 거부감을 주는 복장이나 지나친 개성표출 복장, 과도한 노출은 자제할 것을 당부하고 샌들과 선글라스, 찢어진 청바지, 미니스커트, 배꼽티 등을 ‘착용 불가’의 예로 들었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정장 차림이 트레이드마크(?)처럼 고착돼 있는 공무원 사회에서 호응과 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는 두고 볼 일이다.
최은택 기자 volk1917@siminnews.net
이는 윤덕홍 교육부총리가 최근 복장규정에 얽매이지 말고 업무에 방해가 되지 않고 품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편안한 복장으로 일할 수 있게 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
‘품위유지와 공직예절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깨끗한 캐주얼 차림을 권장한다’는 단서조항과 ‘의전 및 대외업무 수행시는 단정한 정장차림으로 한다’는 유의사항이 붙어있지만 사실상 ‘복장자율화’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상대방에게 불쾌감이나 거부감을 주는 복장이나 지나친 개성표출 복장, 과도한 노출은 자제할 것을 당부하고 샌들과 선글라스, 찢어진 청바지, 미니스커트, 배꼽티 등을 ‘착용 불가’의 예로 들었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정장 차림이 트레이드마크(?)처럼 고착돼 있는 공무원 사회에서 호응과 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는 두고 볼 일이다.
최은택 기자 volk1917@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