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그동안 국민의 불신으로 존립기반까지 위태로웠던 검찰 조직이 이번 굿모닝시티 수사를 통해 부활하는 느낌이다.
‘굿모닝시티’ 파동으로 정치권이 스타일을 팍팍 구기며 좌불안석인데 반해 검찰 측은 오히려 그동안 구겨진 체면을 펴고 있다.
사실 그동안 검찰조직은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 엘리트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의 시녀’라는 불명예스러운 닉네임을 꼬리표처럼 달고 다녀야 했다.
실제로 여태까지의 검찰조직 행보를 보면 그런 닉네임을 자초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참여정부 출범 직후 공중파로 중계됐던 ‘대통령과 평검사와의 대화’ 당시만 해도 대다수 국민들은 검찰조직에 대해 등을 돌리는 분위기였다.
심지어 검사는 ‘검새’가 되어 인터넷 공간의 조롱거리로 전락되는 수모를 받기도 했다.
그런데 이번 굿모닝 시티 수사에서 보여준 검찰의 달라진 행보는 그동안 그들을 외면하던 국민들의 정서를 바꿔놓기에 충분할 만큼 ‘희망’적이다.
지난 20일 한 TV 방송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한 강금실 법무부장관은 굿모닝시티 수사와 관련 본인은 물론 다른 검찰간부도 한 통의 청탁전화를 받지 않았다며 더 이상 검찰수사에 대한 외부개입이 존재하지 않는 정황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강장관은 이번 굿모닝시티 수사가 검찰 개혁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정치권 파장이 예상되더라도 피해자가 많고 피해액수가 큰 만큼 수사는 기본원칙 대로 따르겠다는 소신을 확고히 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이 검찰에 날을 세우고 나섰지만 효력면에서는 ‘글쎄올시다’다.
정대철 대표에 대한 사전 구속영장 청구 등 검찰의 강도 높은 수사가 다소 무리수를 둔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헌정사상 초유의 참(慘)’ ‘한국정치의 위기’(여당), ‘피의사실 공표, 헌법조문 사문화 행위는 여론을 호도해 집권당을 파괴하거나 국회를 검찰의 시녀로 만들려는 것이므로 검찰권 남용과 권한 일탈로 법무장관 해임을 건의하자’(야당)는 여야의 한목소리는 아무래도 불편하다.
지금 정치권에서 외치고 있듯 검찰이 정치권의 상전이 돼서는 안된다. 뿐만 아니라 검찰 조직을 권력의 시녀로 전락시키려는 무모함 역시 용납될 수 없다.
정치조직이건 검찰조직이건 저마다 스스로의 존립 근거에 대해 다시 한번 숙고할 것을 촉구한다.
정녕 존재이유를 안다면 부끄러워 그 어떤 말을 입에 담을 수 있을까.
기왕에 검찰 조직이 자기개혁의 기치아래 ‘환골탈태’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판이다.
이참에 정치권도 함께 변해보면 어떨까.
개혁을 추구하는 이 시대의 화두에 동참해보자.
세상이 달라 보일 것이다.
‘굿모닝시티’ 파동으로 정치권이 스타일을 팍팍 구기며 좌불안석인데 반해 검찰 측은 오히려 그동안 구겨진 체면을 펴고 있다.
사실 그동안 검찰조직은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 엘리트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의 시녀’라는 불명예스러운 닉네임을 꼬리표처럼 달고 다녀야 했다.
실제로 여태까지의 검찰조직 행보를 보면 그런 닉네임을 자초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참여정부 출범 직후 공중파로 중계됐던 ‘대통령과 평검사와의 대화’ 당시만 해도 대다수 국민들은 검찰조직에 대해 등을 돌리는 분위기였다.
심지어 검사는 ‘검새’가 되어 인터넷 공간의 조롱거리로 전락되는 수모를 받기도 했다.
그런데 이번 굿모닝 시티 수사에서 보여준 검찰의 달라진 행보는 그동안 그들을 외면하던 국민들의 정서를 바꿔놓기에 충분할 만큼 ‘희망’적이다.
지난 20일 한 TV 방송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한 강금실 법무부장관은 굿모닝시티 수사와 관련 본인은 물론 다른 검찰간부도 한 통의 청탁전화를 받지 않았다며 더 이상 검찰수사에 대한 외부개입이 존재하지 않는 정황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강장관은 이번 굿모닝시티 수사가 검찰 개혁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정치권 파장이 예상되더라도 피해자가 많고 피해액수가 큰 만큼 수사는 기본원칙 대로 따르겠다는 소신을 확고히 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이 검찰에 날을 세우고 나섰지만 효력면에서는 ‘글쎄올시다’다.
정대철 대표에 대한 사전 구속영장 청구 등 검찰의 강도 높은 수사가 다소 무리수를 둔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헌정사상 초유의 참(慘)’ ‘한국정치의 위기’(여당), ‘피의사실 공표, 헌법조문 사문화 행위는 여론을 호도해 집권당을 파괴하거나 국회를 검찰의 시녀로 만들려는 것이므로 검찰권 남용과 권한 일탈로 법무장관 해임을 건의하자’(야당)는 여야의 한목소리는 아무래도 불편하다.
지금 정치권에서 외치고 있듯 검찰이 정치권의 상전이 돼서는 안된다. 뿐만 아니라 검찰 조직을 권력의 시녀로 전락시키려는 무모함 역시 용납될 수 없다.
정치조직이건 검찰조직이건 저마다 스스로의 존립 근거에 대해 다시 한번 숙고할 것을 촉구한다.
정녕 존재이유를 안다면 부끄러워 그 어떤 말을 입에 담을 수 있을까.
기왕에 검찰 조직이 자기개혁의 기치아래 ‘환골탈태’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판이다.
이참에 정치권도 함께 변해보면 어떨까.
개혁을 추구하는 이 시대의 화두에 동참해보자.
세상이 달라 보일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