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건강 증진사업 강화를

    기자칼럼 / 시민일보 / 2004-03-17 20:33:38
    • 카카오톡 보내기
    박 근 출 수도권부 국장대우(이천·여주·양평 주재)
    {ILINK:1} 우리나라 의료서비스 공급체계는 주로 영리 위주의 치료사업에 치중돼 있으며 노인의 만성 질환과 관련된 국민보건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대체적으로 미흡하다.

    민간의료에서는 필수적인 건강증진 예방, 추후관리 재활요양 등 보건 서비스가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6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의학 발전과 의료보장에 의해 평균수명이 늘어 80∼90세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출생률 감소로 상대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급격히 증가, 이에 따른 노인문제가 사회전반에 걸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정도로 만성질환은 건강문제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국내 노인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료시스템은 공공부분의 역할이 극히 미미한 실정이고 주로 민간의료가 담당해 예방보건 사업에도 매우 소극적으로 대처함을 알 수 있다.

    또 공공의료기관은 노인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건강증진 사업이나 저소득층에 기본적인 의료서비스 제공 기능이 취약하며 산업장과 보건의료계의 건강관리사업이 연계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보건소는 만성질환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건강증진사업에 전력을 다하고 있으나 전문인력과 예산 부족은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보건인력을 활용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를 강화하고 보건소를 포함한 공공기관에서 독거 노인, 저소득층 취약 계층에 대한 만성질환 관리 사업을 더욱 강화해야 하며 전문 인력 및 예산확보에 노력해야 한다.

    현재 의료 서비스 1차 보건의료부문은 치료 위주의 기능을 하며 2차 보건의료 부문과의 기능이 차별화 되지 않아 질병의 예방 및 건강증진기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노인 만성질환을 수준별로 진료하는 의료전달체계가 확립해야 하고 기존의료자원의 서비스 수준과 단계별로 명확한 역할 구분을 실시해야 한다.

    노인 전문간호사를 양성해 부족한 장기 요양서비스를 담당케 하고 만성 질환자를 돌볼 수 있는 장기요양기관 및 치료시설을 건립, 장기요양서비스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사회 경제적 비용이 증대되고 있는 만성질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중앙정부 차원의 관리행정 조직 정비 및 만성질환 실태파악과 더불어 민관부문이 만성질환 관리에 참여토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