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경선시기와 방법

    칼럼 / 시민일보 / 2007-03-14 18:54:42
    • 카카오톡 보내기
    한 선 교(한나라당 의원)
    작금 한나라당은 경선 시기와 방법을 놓고 당원뿐 아니라 국민들께도 불안감을 줄 정도로 공전을 계속하고 있다.

    그 이유는 각 후보 측이 자신들이 좀 더 유리한 쪽으로 시기와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자신들의 주장을 펴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것이 7월 설, 9월 설이다.

    하지만 7월이 왜 유리하고 9월이 왜 유리하고 불리한지는 설명되어지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원칙대로 원안대로 가야한다.

    한나라당 혁신위원회(위원장 홍준표)에서 한나라당의 대선 승리를 위해서 최선을 다해 만든 혁신위 안으로 가야한다.

    혁신위는 당 특별기구로서 정권 교체라는 특별 목적을 위해 당의 대변화라는 특별한 방향으로 가기 위해 9개월간 57회라는 공청회를 거치는 이른바 전무후무한 특별 과정을 거쳐 만든 특별 당헌 당규다.

    당시 당대표였던 박근혜대표는 ‘한자도 고쳐선 안된다’는 혁신위 위원들의 요구에 따라 ‘한자도 고치지 않은 채’ 원안 그대로 받아 들였다.

    혁신위 안이 만들어졌을 당시, “당이 환골탈퇴 하기 위해 만든 혁신위 안을 놓고 대선 손익계산용으로 전락시키는 것 자체가 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말했던 분이 현재 이명박 전 시장의 경준위 대리인인 박형준 의원이다. 맞는 말이다.

    그런가 하면 한 유력 대선 후보께선 “선거일 6개월 전 대통령 후보를 뽑는 것은 너무 빠르다”고 한 방송사와 인터뷰를 해 적잖은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바로 작년에 있었던 일이다. 그러나 그분은 최근 들어 “당이 화합하고 단합하려면 기간이 너무 길어서는 안된다”고 정반대의 말씀을 하신다. 물론 작년에 인터뷰할 때와 지금의 지지율은 하늘과 땅의 차이를 보인다. 유력 경선 후보가 자신의 유 불리에 따라 그때 그때 원칙을 깨고 입장을 바꾸는 것이야말로 당의 화합을 깨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요즘 경선 시기와 방법에 대해 각 후보의 유 불리에 따라 여러 가지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박근혜 대표의 주장은 오직 한 가지다.

    “경선 시기는 6월, 방법은 4만이다.”

    박근혜대표는 만약 불가피하게 규정을 고친다면 다음 3가지 원칙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도 일관되게 밝혀 왔다. 첫째, 특정 후보의 필요에 의해서가 아닌 대선 승리를 위해 당의 필요에 의해서 접근되어야 한다. 둘째, 당 지도부에 의해 그 명분과 이유가 분명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당원들의 의견을 묻는 적법한 절차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상의 조건 이외의 어떠한 절충안도 받지 않을 것이다. 원칙을 지킨다는 것은 공당의 지극히 당연한 상식이다. 원칙을 깨는 측에서 오히려 상대방을 근거없이 비방하는 것은 적반하장이고 그것 자체가 네가티브가 아닐 수 없다.
    당의 화합을 진심으로 바라는 의미에서 지켜보고 있을 뿐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