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중국發 미세먼지' 입증 근거 찾았다

    충청권 / 장인진 / 2019-04-11 00:02:03
    • 카카오톡 보내기
    기후환경 영향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오염물질 유입경로 역추적 환산결과 '71%~100%'


    [홍성=장인진 기자] 충남지역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이 중국 등 국경 밖에서 넘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는 과학적 연구결과가 나왔다.

    충남도는 10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기후환경 영향 연구용역(2차년도)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는 김용찬 행정부지사를 비롯한 기후·환경·에너지·보건 담당 공무원, 자문위원, 발전·용역사 관계자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용역 추진성과보고, 자문 및 종합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도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5년에 걸쳐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기후환경 영향 등에 관한 연구를 추진 중이다.

    연구용역은 ▲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대기환경정보 구축) ▲대전대학교(대기질측정분석) ▲한국품질재단(지역자원시설세 세수 전망) ▲강원대학교(생태환경 모니터링) 등이 맡았다.

    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는 지난 2018년 당진시 2개 지점에 대기질 샘플링을 설치, 계절별 4회에 걸쳐(4·7·10·1월) 안정동위원소 탄소(c), 납(pd) 등 국외 대기오염물질 원인별 기원을 측정했다.

    측정 방법은 충남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제외한 타 시ㆍ도 및 국외 유입 물질 경로를 역추적해 퍼센트(%)로 환산했다.

    그 결과 봄에는 중국 중북·중남·동북 77.5%, 여름에는 경상도 등 국내 63.3%, 가을에는 중국 동북·산둥성·중북 71.3%, 겨울에는 중국 중북·동북·기타 100% 등 여름철을 제외한 봄·가을·겨울철 중국 방향에서 도내로 유입되는 대기오염물질 비율이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품질재단은 지역자원시설세 세수 전망 및 운용방안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노후석탄 14기를 폐지 후 재생에너지로 전환시 2025년이면 335억원, LNG로 전환시 1403억원(세율 1원/kWh으로 상향시)의 세수가 확충될 것으로 분석했다.

    김용찬 도 행정부지사는 “연구 결과 발전소의 대기오염 영향 규명 등 일부 정책화 가능한 과제를 발굴해 도정에 반영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조사·연구 자료 누적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전환 정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1일부터 7일까지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따른 비상저감 조치가 발령, 화력발전소 발전용량을 80%로 줄였다.

    이에 대한 모델링을 분석한 결과, 일평균 최대 저감률은 3%에서 8.9%를 보여 7일간 평균 최대 5.2%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