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인성호(三人成虎)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직역하면 세 사람만 우겨대면 없는 호랑이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즉 여러 사람이 우겨대면 없는 것도 있는 것으로, 있는 것도 없는 것으로 만들 수 있음을 비겨 이르는 말이다.
이 말의 어원은 대략 이렇다.
전국 시대, 위(魏:梁)나라 혜왕(惠王) 때 태자와 중신 방총이 볼모로 조(趙)나라의 도읍 한단(邯鄲)으로 가게 되었다.
출발을 며칠 앞둔 어느 날, 방총이 심각한 얼굴로 혜왕에게 이렇게 물었다.
""전하, 지금 누가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한다면 전하께서는 믿으시겠나이까?""
""누가 그런 말을 믿겠소.""
""하오면, 두 사람이 똑같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한다면 어찌하시겠나이까?""
""그럴지도 모르겠다고 의심해 보겠소.""
""만약, 세 사람이 똑같이 아뢴다면 그땐 믿으시겠나이까?""
""그땐 믿을 것이오.""
그러자 방총이 이렇게 말했다.
""전하,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날 수 없다는 것은 불을 보듯 명백한 사실이옵니다. 하오나 세 사람이 똑같이 아뢴다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난 것이 되옵니다. 신은 이제 한단으로 가게 되었사온데, 한단은 위나라에서 저잣거리보다 억만 배나 멀리 떨어져 있사옵니다. 게다가 신이 떠난 뒤 신에 대해서 참언(讒言)을 하는 자가 세 사람만은 아닐 것이옵니다. 전하, 바라옵건대 그들의 헛된 말을 귀담아 듣지 마시오소서.""
그러자 혜왕은 ""염려 마오. 누가 무슨 말을 하든지 과인은 두 눈으로 본 것이 아니면 믿지 않을 것이오.""라고 자신 있게 대답했다.
그런데 방총이 한단으로 떠나가자마자 혜왕에게 참언을 하는 자가 있었다.
수년 후 볼모에서 풀려난 태자는 귀국했으나 혜왕에게 의심을 받은 방총은 끝내 귀국할 수 없었다고 한다.
결국 혜왕은 모리배들의 이간질로 인해 충신 방총을 잃게 된 것이다.
비슷한 고사성어 가운데 증삼살인(曾參殺人)이라는 것이 있다.
공자의 제자 증삼(曾參)의 어머니는 아들의 선한 성품을 믿었다.
그런데 어느 날 베를 짜고 있을 때 어떤 사람이 와 증삼이 사람을 죽였다고 고함을 쳤다.
처음엔 믿지 않았으나 세 번째 사람이 와서 같은 말을 하자 그 말을 믿고 베를 짜다말고 뛰어나갔다.
이처럼 세 사람이 작당해서 멀쩡한 한 사람을 죽이는 것은 누워서 떡먹기다.
지금 정치권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관조하고 있노라면, 이런 현상을 수시로 목격하게 된다.
특히 지난해 한나라당 경선 당시 여론조사 효과라는 덕을 톡톡히 본 게 지금의 이명박 대통령이다.
당시 각종 여론조사결과 이명박 대통령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압도적으로 앞서고 있었다.
물론 우리가 체감하는 여론과는 사뭇 다른 결과다.
아니나 다를까.
박 전 대표는 당원 대의원 및 국민투표인단이 참여한 현장 투표에서 이명박 후보를 당당하게 눌렀다. 그러나 여론조사 결과는 달랐다. 이명박 대통령이 앞섰다.
이로 인해 승자가 뒤바뀌는 이상한 현상이 나타나고 만 것이다.
이는 이명박 진영으로 넘어간 조중동 등 각 언론사가 매일 발표하는 여론조사를 통해 “이명박 후보가 앞서고 있다”고 국민들을 세뇌시켰고,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 국민들은 기왕이면 이길 후보에게 표를 몰아준다는 심리로 그를 지지한다고 응답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즉 조중동이 일시에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떠드는 통에 국민들이 그 말을 그대로 믿은 결과인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그런 효과를 믿고 있고, 실제 그 덕을 본 이명박 정부가 지금 또 다시 존재하지도 않는 호랑이를 만들어 내기 위해 ‘민영미디어랩’을 구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실제 이명박 정부는 1만여 명의 종교, 지역방송 관계자 심지어 중앙일간지와 광고업 종사자 모두의 생존이 걸린 문제인 미디어랩 도입 결정을 밀실에서 결정하고 말았다.
물론 방송을 장악하기 위한 의도일 것이다.
그런데 이명박 정부가 방송을 장악하고 각 방송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떠들면 어찌될까?
직역하면 세 사람만 우겨대면 없는 호랑이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즉 여러 사람이 우겨대면 없는 것도 있는 것으로, 있는 것도 없는 것으로 만들 수 있음을 비겨 이르는 말이다.
이 말의 어원은 대략 이렇다.
전국 시대, 위(魏:梁)나라 혜왕(惠王) 때 태자와 중신 방총이 볼모로 조(趙)나라의 도읍 한단(邯鄲)으로 가게 되었다.
출발을 며칠 앞둔 어느 날, 방총이 심각한 얼굴로 혜왕에게 이렇게 물었다.
""전하, 지금 누가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한다면 전하께서는 믿으시겠나이까?""
""누가 그런 말을 믿겠소.""
""하오면, 두 사람이 똑같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한다면 어찌하시겠나이까?""
""그럴지도 모르겠다고 의심해 보겠소.""
""만약, 세 사람이 똑같이 아뢴다면 그땐 믿으시겠나이까?""
""그땐 믿을 것이오.""
그러자 방총이 이렇게 말했다.
""전하,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날 수 없다는 것은 불을 보듯 명백한 사실이옵니다. 하오나 세 사람이 똑같이 아뢴다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난 것이 되옵니다. 신은 이제 한단으로 가게 되었사온데, 한단은 위나라에서 저잣거리보다 억만 배나 멀리 떨어져 있사옵니다. 게다가 신이 떠난 뒤 신에 대해서 참언(讒言)을 하는 자가 세 사람만은 아닐 것이옵니다. 전하, 바라옵건대 그들의 헛된 말을 귀담아 듣지 마시오소서.""
그러자 혜왕은 ""염려 마오. 누가 무슨 말을 하든지 과인은 두 눈으로 본 것이 아니면 믿지 않을 것이오.""라고 자신 있게 대답했다.
그런데 방총이 한단으로 떠나가자마자 혜왕에게 참언을 하는 자가 있었다.
수년 후 볼모에서 풀려난 태자는 귀국했으나 혜왕에게 의심을 받은 방총은 끝내 귀국할 수 없었다고 한다.
결국 혜왕은 모리배들의 이간질로 인해 충신 방총을 잃게 된 것이다.
비슷한 고사성어 가운데 증삼살인(曾參殺人)이라는 것이 있다.
공자의 제자 증삼(曾參)의 어머니는 아들의 선한 성품을 믿었다.
그런데 어느 날 베를 짜고 있을 때 어떤 사람이 와 증삼이 사람을 죽였다고 고함을 쳤다.
처음엔 믿지 않았으나 세 번째 사람이 와서 같은 말을 하자 그 말을 믿고 베를 짜다말고 뛰어나갔다.
이처럼 세 사람이 작당해서 멀쩡한 한 사람을 죽이는 것은 누워서 떡먹기다.
지금 정치권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관조하고 있노라면, 이런 현상을 수시로 목격하게 된다.
특히 지난해 한나라당 경선 당시 여론조사 효과라는 덕을 톡톡히 본 게 지금의 이명박 대통령이다.
당시 각종 여론조사결과 이명박 대통령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압도적으로 앞서고 있었다.
물론 우리가 체감하는 여론과는 사뭇 다른 결과다.
아니나 다를까.
박 전 대표는 당원 대의원 및 국민투표인단이 참여한 현장 투표에서 이명박 후보를 당당하게 눌렀다. 그러나 여론조사 결과는 달랐다. 이명박 대통령이 앞섰다.
이로 인해 승자가 뒤바뀌는 이상한 현상이 나타나고 만 것이다.
이는 이명박 진영으로 넘어간 조중동 등 각 언론사가 매일 발표하는 여론조사를 통해 “이명박 후보가 앞서고 있다”고 국민들을 세뇌시켰고,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 국민들은 기왕이면 이길 후보에게 표를 몰아준다는 심리로 그를 지지한다고 응답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즉 조중동이 일시에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떠드는 통에 국민들이 그 말을 그대로 믿은 결과인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그런 효과를 믿고 있고, 실제 그 덕을 본 이명박 정부가 지금 또 다시 존재하지도 않는 호랑이를 만들어 내기 위해 ‘민영미디어랩’을 구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실제 이명박 정부는 1만여 명의 종교, 지역방송 관계자 심지어 중앙일간지와 광고업 종사자 모두의 생존이 걸린 문제인 미디어랩 도입 결정을 밀실에서 결정하고 말았다.
물론 방송을 장악하기 위한 의도일 것이다.
그런데 이명박 정부가 방송을 장악하고 각 방송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떠들면 어찌될까?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