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정부 위기, 해법은 있지만...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8-12-07 12:44:27
    • 카카오톡 보내기
    편집국장 고 하 승
    최근 필자가 겸임교수로 재직하던 모 대학원의 제자들과 만나 대통령 선거 이후 유권자들의 달라진 모습에 대해 토론을 벌인 일이 있다.

    한 제자가 이렇게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을 찍은 유권자에는 두 부류가 있다. 하나는 소위 ‘강부자’로 통칭되는 2%미만의 땅 부자들이고, 또 하는 자영업자와 택시기사, 노점상 등 이 대통령이 경제를 살려 줄 것이라고 믿었던 서민들이다. 그런데 지금 그 지지자들 가운데 ‘강부자’만 남고, 서민들은 모두 돌아섰다. 그냥 단순히 돌아선 정도가 아니라 이들 그룹은 오히려 이명박 정부의 극렬한 반대세력으로 넘어가고 말았다.”

    또 다른 제자는 이렇게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TV 대선광고 ‘욕쟁이 할머니’편에 나왔던 할머니가 실제로는 강남에서 포장마차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는 데, 그 할머니가 운영하는 포장마차가 지금도 잘 운영되고 있는지 가보고 싶다. 충청도 출신의 그 할머니가 이 대통령에게 전라도 억양으로 ""다 쳐 먹었으니까 이제 경제 좀 살려라, 잉?""이라고 말해, 서민 경제를 살리는 ‘경제 대통령’ 이미지를 부각시켰는데, 그 포장마차가 잘 운영되고 있는지 정말 궁금하다. 어쩌면 지금 땅을 치며 통곡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당시 ‘묻지 마 투표’라는 형태로 이 대통령을 지지했던 유권자들의 모습이 이렇게 달라진 것이다.

    물론 앞 뒤 판단 없이 ‘747로 경제를 살린다’는 허황된 구호만 믿고, 그에게 투표한 유권자들에게 그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

    하지만 뒷날은 생각하지도 않고 우선 당선되고 보자는 식으로 유권자들의 기대수준을 마냥 높여 놓은 이 대통령의 책임 또한 감과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대통령에 대한 원망을 “지금은 세계적인 경제 위기 상황인데 억울하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잘 알다시피 이 대통령에 대한 국정지지도는 당선 직후 80%대를 상회한 적도 있다.

    보수성향의 표심에 중도표심 및 서민표심까지 싹쓸이했기 때문이다.

    그 ‘싹쓸이’가 가능했던 이유가 바로 ‘경제’아닌가.

    그런데 지금 이대통령의 지지율은 사실상 ‘사망선고’나 다를 바 없는 20%대 늪에서 좀처럼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장장 7개월 째 계속되고 있다.

    이 대통령의 지지기반이 복구하기 어려울 정도로 처참하게 허물어진 것이다.

    이는 한마디로 ‘경제 회생’에 대한 서민들의 회의가 극에 달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현상이 좀 더 오래 지속되면, ‘이명박 대통령은 절대 경제를 살릴 수 없는 대통령’이라는 믿음이 유권자들 사이에서 확고하게 자리 잡게 될지도 모른다.

    그럴 경우 ‘대통령 하야’를 요구하는 극단적인 목소리가 일시에 터져 나올 수도 있다.

    과연 그 목소리를 불과 20% 대의 지지를 받는 대통령이 막을 수 있을까?

    어림도 없다.

    따라서 사전에 예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다면 예방책은 있는가.

    물론이다.

    먼저 유권자들 사이에 팽배해 있는 불신부터 걷어내야 한다.

    아울러 이 위기를 헤쳐 나가기 위해 국민역량을 한데 모으는 계기를 마련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자면 국민의 신뢰를 받는 인물, 국민통합의 모델이 될 수 있는 인물을 이 대통령이 끌어 와야만 한다.

    즉 국민과 시장의 신뢰를 받을 수 있고, 위기관리 능력과 식견.경륜을 두루 갖춘 인물을 이 명박 대통령이 삼고초려(三顧草廬)를 해서라도 모셔 와야 한다는 말이다.

    그러면 그런 인물은 있는가?

    당연히 있다.

    현재 모든 정치인들 가운데 가장 지지기반이 든든한 사람이 누구인가?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인물 가운데 국민 두 명 중 한 사람의 지지를 받는 사람이 누구인가.

    굳이 그의 이름을 거명하지 않겠다.

    그와 손을 잡으면 된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그게 쉽지 않다.

    경제위기에 대처하는 방식은 물론 남북관계를 풀어가는 데 있어서도 둘 사이는 건너기 힘든 골이 깊게 패여 있기 때문이다.

    단순한 계파 갈등의 문제가 아니라, 문제 해결의 방식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이 대통령은 성공적인 결과만 만들어 낼 수 있다면, 그에 따른 국민갈등은 아예 무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그는 ‘국민통합’을 가장 염두에 두고 있다.

    따라서 양측이 국정 운영파트너가 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결국 유일한 해법은 이 대통령 스스로 하야를 결심해 주거나, 범국민적 지지를 받는 그에게 사실상 전권을 위임하는 길 뿐인 것 같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