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산업연구원 소속 이항구 기계산업팀장은 13일 오전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민경욱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모든 업체가 유동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어 단기간내에 쌍용자동차를 인수할 업체가 나오기 힘든 실정이다”면서 “매수자가 나오게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선행 되어야 된다”고 주장했다.
현재 쌍용차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와 레저용 자동차가 중심이 되는 회사로 연 25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7000여명이 근무하고 있는, 수출이 내수시장 판매보다 더 높은 업체이다.
이항구 팀장은 “상하이 자동차가 인수한 후에는 투자 부진으로 전반적인 경쟁력이 과거보다 많이 취약해졌다”고 밝히며, “제3에 대한 매각을 통해서 경쟁력을 회복한 후에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함으로써 회생의 발판을 마련해야 된다”고 평가했다.
이 팀장은 또 “쌍용자동차가 파산할 경우 부품업체 도산이 이루어질 것이고 약 1만명 이상의 실업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파산보다는 규모를 축소하더라도 정상화 시키는 것이 우리 경제에는 긍정적이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특히 그는 “파산할 경우 현대, 기아 자동차나 외국계 업체에 반사이익이 돌아가게 되는데, 한국 자동차 산업의 중장기 발전을 위해서는 현대, 기아차의 추가적인 지배력 강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하며, “국내 완성차 업체 경쟁력 강화에도 부정적이고 국내업체들의 시장지배력이 강화될 경우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유발할 수도 있어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득보다는 실이 더 클 것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쌍용차 노조의 ‘상하이 차가 기술제휴 등의 명목으로 기술을 가져가기만 했지 적절한 비용은 지불하지 않았다’라는 주장에 대해 이 팀장은 “상하이차 입장에서는 자기네가 인수한 기업의 기술을 이전해 온 것은 국제 반응에서 볼 적에는 그렇게 잘못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면서 기술이전과 먹튀 논란에 대한 가늠자가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산업연구원 소속 이항구 기계산업팀장은 13일 오전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민경욱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모든 업체가 유동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어 단기간내에 쌍용자동차를 인수할 업체가 나오기 힘든 실정이다”면서 “매수자가 나오게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선행 되어야 된다”고 주장했다.
현재 쌍용차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와 레저용 자동차가 중심이 되는 회사로 연 25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7000여명이 근무하고 있는, 수출이 내수시장 판매보다 더 높은 업체이다.
이항구 팀장은 “상하이 자동차가 인수한 후에는 투자 부진으로 전반적인 경쟁력이 과거보다 많이 취약해졌다”고 밝히며, “제3에 대한 매각을 통해서 경쟁력을 회복한 후에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함으로써 회생의 발판을 마련해야 된다”고 평가했다.
이 팀장은 또 “쌍용자동차가 파산할 경우 부품업체 도산이 이루어질 것이고 약 1만명 이상의 실업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파산보다는 규모를 축소하더라도 정상화 시키는 것이 우리 경제에는 긍정적이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특히 그는 “파산할 경우 현대, 기아 자동차나 외국계 업체에 반사이익이 돌아가게 되는데, 한국 자동차 산업의 중장기 발전을 위해서는 현대, 기아차의 추가적인 지배력 강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하며, “국내 완성차 업체 경쟁력 강화에도 부정적이고 국내업체들의 시장지배력이 강화될 경우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유발할 수도 있어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득보다는 실이 더 클 것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쌍용차 노조의 ‘상하이 차가 기술제휴 등의 명목으로 기술을 가져가기만 했지 적절한 비용은 지불하지 않았다’라는 주장에 대해 이 팀장은 “상하이차 입장에서는 자기네가 인수한 기업의 기술을 이전해 온 것은 국제 반응에서 볼 적에는 그렇게 잘못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면서 기술이전과 먹튀 논란에 대한 가늠자가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