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李, ‘MB약(藥)법’ 지방순회 홍보등 2월 처리 강행 움직임
민주당 “당정 독재회귀법임을 국민과 함께 확인해 나갈 것”
이명박 대통령은 오는 19일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와 새해 첫 정례회동을 갖고 주요 정국 현안을 논의하는가 하면, 오는 30일에는 한나라당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 멤버들을 청와대로 불러 점심을 함께 하는 등 여당 인사들과 접촉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한나라당 김효재 대표 비서실장은 15일 “다음주 월요일 청와대에서 이 대통령과 박 대표가 만나 정례회동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물론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과 박 대표는 MB 쟁점 법안의 2월 임시국회 처리문제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나라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당청간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인 만큼 대통령이 박 대표에게 쟁점 법안의 2월 임시국회 회기내 처리를 당부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사실상 ‘MB법안’ 속도전을 재요청하는 셈이다.
오는 30일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 멤버들을 청와대로 초청하는 이유도 ‘MB법안’ 속도전 요구 때문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멤버 가운데 한 사람인 박근혜 전 대표가 청와대 회동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앞서 박 전 대표는 MB 법안에 대해 “국민에게 고통을 주는 법안”이라고 강하게 질책한 바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야권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우선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15일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과 관련, “국가균형발전을 외면한 것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국회 심의과정에서 철저하게 따질 것”이라고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대전에서 ‘MB악법 규탄 및 철회 촉구 결의대회’를 갖기에 앞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일방적으로 ‘수도권정비계획법’시행령을 의결한 것은 ‘선 지방발전, 후 수도권 규제완화’란 자신들의 지방발전 공약을 완전히 폐기한 잘못된 결정”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한나라당이 폭력방지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는데 대해선 “적반하장”이라고 꼬집었다.
또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미디어 행동과 MB악법저지국민운동본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MB악법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뜻을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후 국민결의대회를 통해 MB악법이 민생법안도 아니고 경제법안도 아닌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의 독재회귀법임을 국민과 함께 확인해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방송법 등 소위 ‘MB악법’을 반대하는 시민단체와의 연대를 더욱 늘리면서 이를 바탕으로 2월 임시국회에서 쟁점법안 저지의 힘을 키우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한나라당 친이 진영은 이명박 대통령의 요구에 따라 2월처리를 강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실제 ‘MB 입법 전쟁’ 실패 원인을 ‘홍보 부족’으로 진단한 한나라당이 설을 앞두고 대대적인 지방 순회 홍보전에 나선다. 민주당의 수사인 ‘MB악법’에 대응해 ‘MB약(藥)법’이라는 선전 문구도 만들었다.
앞서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임시국회 마지막 날이던 지난 13일 의원총회에서 “2월 입법투쟁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고 역설하며 “(설 연휴까지를) 대국민 홍보기간으로 정해, 전국을 동시다발적으로 순회하며 법안을 홍보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따라서 2월 임시국회를 앞두고 여야간 2차 입법전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민주당 “당정 독재회귀법임을 국민과 함께 확인해 나갈 것”
이명박 대통령은 오는 19일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와 새해 첫 정례회동을 갖고 주요 정국 현안을 논의하는가 하면, 오는 30일에는 한나라당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 멤버들을 청와대로 불러 점심을 함께 하는 등 여당 인사들과 접촉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한나라당 김효재 대표 비서실장은 15일 “다음주 월요일 청와대에서 이 대통령과 박 대표가 만나 정례회동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물론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과 박 대표는 MB 쟁점 법안의 2월 임시국회 처리문제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나라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당청간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인 만큼 대통령이 박 대표에게 쟁점 법안의 2월 임시국회 회기내 처리를 당부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사실상 ‘MB법안’ 속도전을 재요청하는 셈이다.
오는 30일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 멤버들을 청와대로 초청하는 이유도 ‘MB법안’ 속도전 요구 때문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멤버 가운데 한 사람인 박근혜 전 대표가 청와대 회동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앞서 박 전 대표는 MB 법안에 대해 “국민에게 고통을 주는 법안”이라고 강하게 질책한 바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야권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우선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15일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과 관련, “국가균형발전을 외면한 것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국회 심의과정에서 철저하게 따질 것”이라고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대전에서 ‘MB악법 규탄 및 철회 촉구 결의대회’를 갖기에 앞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일방적으로 ‘수도권정비계획법’시행령을 의결한 것은 ‘선 지방발전, 후 수도권 규제완화’란 자신들의 지방발전 공약을 완전히 폐기한 잘못된 결정”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한나라당이 폭력방지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는데 대해선 “적반하장”이라고 꼬집었다.
또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미디어 행동과 MB악법저지국민운동본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MB악법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뜻을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후 국민결의대회를 통해 MB악법이 민생법안도 아니고 경제법안도 아닌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의 독재회귀법임을 국민과 함께 확인해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방송법 등 소위 ‘MB악법’을 반대하는 시민단체와의 연대를 더욱 늘리면서 이를 바탕으로 2월 임시국회에서 쟁점법안 저지의 힘을 키우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한나라당 친이 진영은 이명박 대통령의 요구에 따라 2월처리를 강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실제 ‘MB 입법 전쟁’ 실패 원인을 ‘홍보 부족’으로 진단한 한나라당이 설을 앞두고 대대적인 지방 순회 홍보전에 나선다. 민주당의 수사인 ‘MB악법’에 대응해 ‘MB약(藥)법’이라는 선전 문구도 만들었다.
앞서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임시국회 마지막 날이던 지난 13일 의원총회에서 “2월 입법투쟁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고 역설하며 “(설 연휴까지를) 대국민 홍보기간으로 정해, 전국을 동시다발적으로 순회하며 법안을 홍보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따라서 2월 임시국회를 앞두고 여야간 2차 입법전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