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성명 발표에 대한 여러 가지 추측이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의도일 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민주당 박지원(전남 목포·사진) 의원은 19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 전화인터뷰를 통해 “이는 오바마 정부에 대해 관심을 촉구하는 의도”라며 이같이 밝히고 “무력충돌은 배제할 수 없으나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우리가 대응을 하면 충돌이 불가피 하나 미국과 관계개선을 간절히 바라고 있는 북한으로서 오바마 대통령의 첫 취임선물로 무력충돌을 보내진 않을 것이라는 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그는 “상당기간 우리 쪽을 보며 무력충돌은 피한 채 오바마 정부의 대북정책 진전과 이명박 정부에 대한 압박정책을 하며 주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의원은 미국이 요구하는 ‘선 비핵화’와 북측이 요구하고 있는 ‘북미간 관계정상화’가 통 큰 협상에 의해 일괄타결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은 북미관계 개선에 거의 목을 매고 있다”며 “심지어 김정일 위원장은 핵이 ‘우리 인민의 밥을 먹여주느냐’는 얘기까지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북한은 핵을 보유한 것은 미국 핵 위협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만들고 있는 것이지 김일성 수령의 비핵화 유언을 지키겠다 공언을 하고 있다”며 “미국과 줄 건 주고 받을 건 받는 통 큰 일괄타결을 하면 모든 것이 잘 해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관희 안보전략연구소장 역시 “미국의 오바마 정부가 출범하는 것에 맞춰 선제적으로 관계에 있어서 기선을 잡아보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 전화인터뷰를 통해 “힐러리 국무장관 내정자가 정반대의 입장에서 북한이 검증 가능한 완전한 핵 폐기를 해야 미국과의 관계정상화가 가능하다는 강경한 입장을 천명한 것에 대해 북한은 반발한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미국내에서 북한에 대한 채찍이 필요하다는 채찍론이 급부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힐러리 국무부장관 내정자의 강경발언도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며 미국과 북한이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취임 후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이철우 의원 역시 “정부를 떠보기 위한 정책이고 미국에서 관심을 가져달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북한에서 남한에 대한 카드를 여러 가지 꺼냈으나 남한의 정책이 일관성 있게 나왔기 때문”이라며 “대내적으로 긴장을 조성하고 최고인민회위선거도 있기 때문에 천미라 운동을 새로 시작하고 있는 등 대내용으로 보는 경향도 강하다”고 분석했다.
/전용혁 기자dra@siminilbo.co.kr
민주당 박지원(전남 목포·사진) 의원은 19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 전화인터뷰를 통해 “이는 오바마 정부에 대해 관심을 촉구하는 의도”라며 이같이 밝히고 “무력충돌은 배제할 수 없으나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우리가 대응을 하면 충돌이 불가피 하나 미국과 관계개선을 간절히 바라고 있는 북한으로서 오바마 대통령의 첫 취임선물로 무력충돌을 보내진 않을 것이라는 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그는 “상당기간 우리 쪽을 보며 무력충돌은 피한 채 오바마 정부의 대북정책 진전과 이명박 정부에 대한 압박정책을 하며 주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의원은 미국이 요구하는 ‘선 비핵화’와 북측이 요구하고 있는 ‘북미간 관계정상화’가 통 큰 협상에 의해 일괄타결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은 북미관계 개선에 거의 목을 매고 있다”며 “심지어 김정일 위원장은 핵이 ‘우리 인민의 밥을 먹여주느냐’는 얘기까지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북한은 핵을 보유한 것은 미국 핵 위협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만들고 있는 것이지 김일성 수령의 비핵화 유언을 지키겠다 공언을 하고 있다”며 “미국과 줄 건 주고 받을 건 받는 통 큰 일괄타결을 하면 모든 것이 잘 해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관희 안보전략연구소장 역시 “미국의 오바마 정부가 출범하는 것에 맞춰 선제적으로 관계에 있어서 기선을 잡아보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 전화인터뷰를 통해 “힐러리 국무장관 내정자가 정반대의 입장에서 북한이 검증 가능한 완전한 핵 폐기를 해야 미국과의 관계정상화가 가능하다는 강경한 입장을 천명한 것에 대해 북한은 반발한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미국내에서 북한에 대한 채찍이 필요하다는 채찍론이 급부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힐러리 국무부장관 내정자의 강경발언도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며 미국과 북한이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북핵문제에 접근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취임 후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이철우 의원 역시 “정부를 떠보기 위한 정책이고 미국에서 관심을 가져달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북한에서 남한에 대한 카드를 여러 가지 꺼냈으나 남한의 정책이 일관성 있게 나왔기 때문”이라며 “대내적으로 긴장을 조성하고 최고인민회위선거도 있기 때문에 천미라 운동을 새로 시작하고 있는 등 대내용으로 보는 경향도 강하다”고 분석했다.
/전용혁 기자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