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1.19 경제팀 개각에 대해 정부의 집권2년차 구상을 그대로 담았다는 평가와 함께 정치권은 물론 시민단체, 전문가 사이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민주당 강봉균 의원은 19일 오전 SBS라디오 ‘김민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비교적 소신 있고, 금융분야에 전문성 있는 사람들을 발탁했다. 특히 지난 정권 때 일했던 사람들을 가리지 않고 썼다는 점을 높게 평가한다”며 다소 의외의 평을 내렸다.
이에 대해 강 의원은 “민주당에서는 국정원, 경찰청 같은 권력기관 쪽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면서 “노무현 대통령이 썼던 분들까지 가리지 않고 쓰는 것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는 것이 당의 입장임을 밝혔다. 이어 그는 경제팀이 ‘예전 재무부 출신들, 금융 쪽에 편중된 인사’라는 일부지적에 대해 “지금이 금융위기 상황이기 때문에 이런 사람들을 쓰는 것도 괜찮다”고 덧붙였다.
현재 정부의 이번 경제팀 개각에 있어서 소위 ‘환란의 주역’이라는 IMF에 대해 책임 있는 자들이 임명돼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같은 날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은 인터뷰에서 “국민적인 신뢰가 부족했던 점이 있다”면서도 “과거 금융위기를 당한 경험을 한 사람들이기에 실무적으로 대통령을 보좌하는데 그 경험이 유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2월에 있을 인사청문회에 대해서는 “야당 의견까지 감안해서 개각을 하면 사람 구하기가 힘들었을 거다”면서 “금융위기를 빨리 극복해야 되는 단계다. 거기에 초점을 맞춰서 판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강봉균 의원은 “(이번 경제팀은) 너무 대통령만 바라보지 말고, 시장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국민을 바라보면 (1년차 경제팀과) 차별화가 될 것 같다”며 소신 있게 행동할 것을 주문했다.
또 인사청문회와 관련해서는 “검증할 건 검증해야 된다”며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이기 때문에 일관성 있고 신속하게 해결해 나갈 수 있는지를 따져야 된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강 의원은 “새로운 경제팀들은 실질적인 행동을 선제적이고 과감한 조치들을 일관성 있게 추진했으면 좋겠다”면서 “은행 자본 확충, 부실채권 정리, 기업 구조조정을 과감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수호 기자msh@siminilbo.co.kr
민주당 강봉균 의원은 19일 오전 SBS라디오 ‘김민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비교적 소신 있고, 금융분야에 전문성 있는 사람들을 발탁했다. 특히 지난 정권 때 일했던 사람들을 가리지 않고 썼다는 점을 높게 평가한다”며 다소 의외의 평을 내렸다.
이에 대해 강 의원은 “민주당에서는 국정원, 경찰청 같은 권력기관 쪽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면서 “노무현 대통령이 썼던 분들까지 가리지 않고 쓰는 것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는 것이 당의 입장임을 밝혔다. 이어 그는 경제팀이 ‘예전 재무부 출신들, 금융 쪽에 편중된 인사’라는 일부지적에 대해 “지금이 금융위기 상황이기 때문에 이런 사람들을 쓰는 것도 괜찮다”고 덧붙였다.
현재 정부의 이번 경제팀 개각에 있어서 소위 ‘환란의 주역’이라는 IMF에 대해 책임 있는 자들이 임명돼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같은 날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은 인터뷰에서 “국민적인 신뢰가 부족했던 점이 있다”면서도 “과거 금융위기를 당한 경험을 한 사람들이기에 실무적으로 대통령을 보좌하는데 그 경험이 유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2월에 있을 인사청문회에 대해서는 “야당 의견까지 감안해서 개각을 하면 사람 구하기가 힘들었을 거다”면서 “금융위기를 빨리 극복해야 되는 단계다. 거기에 초점을 맞춰서 판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강봉균 의원은 “(이번 경제팀은) 너무 대통령만 바라보지 말고, 시장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국민을 바라보면 (1년차 경제팀과) 차별화가 될 것 같다”며 소신 있게 행동할 것을 주문했다.
또 인사청문회와 관련해서는 “검증할 건 검증해야 된다”며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이기 때문에 일관성 있고 신속하게 해결해 나갈 수 있는지를 따져야 된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강 의원은 “새로운 경제팀들은 실질적인 행동을 선제적이고 과감한 조치들을 일관성 있게 추진했으면 좋겠다”면서 “은행 자본 확충, 부실채권 정리, 기업 구조조정을 과감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수호 기자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