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국회의장이 2일 쟁점법안 처리와 관련해 언론관계법을 각각 4월과 6월에 나눠 처리하는 중재안을 제시하자, 한나라당내 친이 강경파들이 ‘탄핵’을 거론하는 등 협박성 발언을 해 비난을 사고 있다.
심재철 의원은 이날 김형오 국회의장의 쟁점법안 처리와 관련, “처리를 더 미룰 경우, 국회의장과 의원직 사퇴 요구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에 대한 사실상 탄핵방침을 거론하며 처리를 압박했다.
심 의원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이런 상황에서 (김 의장이) 계속 국회의장직을 수행해야 될 것인지 그 자체부터 저희들은 심각하게 고민을 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심 의원은 또 “(한나라당) 국회의원들 입장이 굉장히 강경하다”며 “현재 의장께서는 의장 임기를 마친 뒤에 다시 한나라당으로 복귀를 하시겠다라는 것을 생각하실지도 모르겠지만 그점 뿐만 아니라 지금 이런 상황에서 계속 의장직을 수행해야 될 것인지에 대해서부터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복당 불가론을 편 것이다.
그는 또 언론관계법과 관련, 사회적 의견수렴기구 설치에 대해 “국회 자체가 국민들의 의견 수렴기구인데 또 다른 의견수렴기구를 만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옥상옥, 시간끌기에 불과한 전술”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기업의 지상파지분을 0%로 하는 언론관계법 수정안에 대해 “디지털 전환만 해도 엄청난 자금이 소요되는데 현재 방송사는 자체적으로 적립해 놓은 돈이 없다”며 “이런 마당에 대기업의 참여를 전혀 안된다, 0%로 묶어버리겠다 하는 것은 전혀 말이 되지 않는 제안”이라고 지적했다.
문방위 소속 진성호 의원도 같은 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국회의장은 환경을 조성하는 게 중요하지, 여야간에 서로 양보해서 이렇게 하라고 중재하는 자리가 아니다”고 김 의장을 비난했다.
진 의원은 “협상은 국회의장이 아니라 여야가 하는 것”이라며 “직권상정이 필요하다면 하고, 책임도 본인이 지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민주당이 미디어법 이야기만 나오면 말을 못하게 하고 있는데, 민주적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국회의장이 짚어주었으면 한다”며 “미디어법을 4개월 정도 상임위가 아닌 국민적 합의기구에서 토론하고 6월에 처리하자는 것은 국회의장이 민주주의 절차를 어긴 것”이라고 꼬집었다.
최경환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한나라당이 172석의 다수당이고 국회의장도 국회의원이 뽑는게 아니냐”며 “지금 의장에 대한 탄핵 내지는 불신임 기류가 강경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 의장이 중재안이라고 내놓은 게 중재안이 아니라 야당안”이라며 “야당안을 들고 와서 한나라당 보고 받으라는 상황이 되어 있기 때문에 못 받겠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뿐만 아니라 한나라당 강경파는 이날 오전 3시께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도 김 의장의 중재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윤선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그 동안 의장이 직권상정 해줄지 알았는데 뜻밖의 제안을 해 매우 격앙된 분위기”라고 전했다.
또 한나라당 의원 70여명은 김 의장이 직권상정 결단을 촉구하며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에서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심재철 의원은 이날 김형오 국회의장의 쟁점법안 처리와 관련, “처리를 더 미룰 경우, 국회의장과 의원직 사퇴 요구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에 대한 사실상 탄핵방침을 거론하며 처리를 압박했다.
심 의원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이런 상황에서 (김 의장이) 계속 국회의장직을 수행해야 될 것인지 그 자체부터 저희들은 심각하게 고민을 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심 의원은 또 “(한나라당) 국회의원들 입장이 굉장히 강경하다”며 “현재 의장께서는 의장 임기를 마친 뒤에 다시 한나라당으로 복귀를 하시겠다라는 것을 생각하실지도 모르겠지만 그점 뿐만 아니라 지금 이런 상황에서 계속 의장직을 수행해야 될 것인지에 대해서부터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복당 불가론을 편 것이다.
그는 또 언론관계법과 관련, 사회적 의견수렴기구 설치에 대해 “국회 자체가 국민들의 의견 수렴기구인데 또 다른 의견수렴기구를 만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옥상옥, 시간끌기에 불과한 전술”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기업의 지상파지분을 0%로 하는 언론관계법 수정안에 대해 “디지털 전환만 해도 엄청난 자금이 소요되는데 현재 방송사는 자체적으로 적립해 놓은 돈이 없다”며 “이런 마당에 대기업의 참여를 전혀 안된다, 0%로 묶어버리겠다 하는 것은 전혀 말이 되지 않는 제안”이라고 지적했다.
문방위 소속 진성호 의원도 같은 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국회의장은 환경을 조성하는 게 중요하지, 여야간에 서로 양보해서 이렇게 하라고 중재하는 자리가 아니다”고 김 의장을 비난했다.
진 의원은 “협상은 국회의장이 아니라 여야가 하는 것”이라며 “직권상정이 필요하다면 하고, 책임도 본인이 지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민주당이 미디어법 이야기만 나오면 말을 못하게 하고 있는데, 민주적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국회의장이 짚어주었으면 한다”며 “미디어법을 4개월 정도 상임위가 아닌 국민적 합의기구에서 토론하고 6월에 처리하자는 것은 국회의장이 민주주의 절차를 어긴 것”이라고 꼬집었다.
최경환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한나라당이 172석의 다수당이고 국회의장도 국회의원이 뽑는게 아니냐”며 “지금 의장에 대한 탄핵 내지는 불신임 기류가 강경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 의장이 중재안이라고 내놓은 게 중재안이 아니라 야당안”이라며 “야당안을 들고 와서 한나라당 보고 받으라는 상황이 되어 있기 때문에 못 받겠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뿐만 아니라 한나라당 강경파는 이날 오전 3시께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도 김 의장의 중재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윤선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그 동안 의장이 직권상정 해줄지 알았는데 뜻밖의 제안을 해 매우 격앙된 분위기”라고 전했다.
또 한나라당 의원 70여명은 김 의장이 직권상정 결단을 촉구하며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에서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